
러시아와 전쟁 중인 우크라이나 정부가 우리나라 박진 신임 외교부 장관에 큰 기대감을 표시하고 나섰다. 박 장관은 야당 국회의원 시절부터 우크라이나 지원에 강한 의지를 밝혀왔으나, 우크라이나가 간절히 원하는 무기 제공에는 난색을 표한 바 있어 향후 이 부분에서 진전이 있을지 주목된다.
드미트로 쿨레바 우크라이나 외교부 장관은 13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린 글에서 “새로 임명된 박진 외교부 장관과 함께 한국·우크라이나 양국 간 상호 유익한 협력을 강화해나가길 고대한다”고 축하 메시지를 전했다. 전날 윤석열 대통령은 국회에서 인사청문보고서 채택이 이뤄지지 않은 박 장관 임명을 전격 재가했다. 외교안보 부처들의 수장 자리는 한시도 비워둘 수 없다는 판단에 따른 고육책으로 풀이된다.
박 장관은 대선 이전 국민의힘 중앙선거대책본부 글로벌비전위원장으로 일할 때 “우리나라 역시 북한의 엄중한 안보 위협에 직면해 있기 때문에 우크라이나 사태가 먼 나라, 남의 나라 얘기가 아니다”고 말하는 등 러시아 침략을 당한 우크라이나에 동병상련의 정을 표시한 바 있다. 우크라이나 출신 한국외국어대 올레나 쉐겔 교수와 만난 자리에서 “자국의 주권과 국민, 영토를 불법 침공당한 우크라이나 사태를 통해 ‘힘을 통한 평화’에 대한 뼈아픈 교훈을 찾고, 국제사회에서 자유와 평화, 번영에 기여하는 글로벌 중추국가 대한민국의 역할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현재 우크라이나 정부는 한국이 미국이나 영국, 유럽연합(EU) 회원국들처럼 무기를 제공해줄 것을 간절히 바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우리 국회의원들을 상대로 행한 화상연설에도 이같은 희망이 담겼다.
하지만 전임 문재인정부는 물론 새 정부도 무기 지원에는 난색을 표하고 있다. 박 장관은 후보자 시절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이 문제에 관해 “한반도 정세를 감안하고, 과거의 선례를 비춰볼 때 한국이 직접 우크라이나에 대해서 무기를 지원하는 것은 여러 가지 현실적인 제약이 있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인도적, 재정 지원과 의료, 비(非)무기 군수물자 지원 등 여러 가지 방안을 통해서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원을 확대해 갈 생각”이라고 덧붙였다.

우크라이나에 대한 한국의 무기 제공 등 각종 지원 확대는 동맹국 미국의 주된 관심사이기도 하다. 일각에선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아시아 순방이 임박한 가운데 오는 20일 서울에서 열릴 윤 대통령과 바이든 대통령의 한·미 정상회담에서 이 문제가 거론될 가능성, 그를 계기로 우크라이나가 바라는 쪽으로 일이 진척될 가능성 등을 조심스럽게 거론하는 분위기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