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세계가 지난해 경기 불황과 소비침체에도 역대 최대 매출을 올린 백화점 사업에 힘입어 총매출이 3.3% 올랐지만, 통상임금 추정 부담금 등으로 인해 영업이익은 25% 이상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신세계가 5일 공시한 지난해 잠정 실적을 보면, 지난해 연결기준 신세계 매출은 11조4974억원으로 전년보다 3.3% 올랐다. 4분기 매출은 전년보다 2.1% 증가한 3조1874억원으로 집계됐다.
![](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02/05/20250205517394.jpg)
영업이익은 크게 줄었다. 지난해 영업이익은 4795억원으로 전년보다 1603억원(25.1%) 감소했다. 4분기 영업이익은 1061억원으로 999억원 줄었다. 지난해 12월 통상임금 관련 대법원 판결에 따른 추정 부담금과 면세점 희망퇴직으로 인한 퇴직금 등이 반영된 영향이라고 신세계는 설명했다. 전년도 인천공항 임대료 회계 처리도 영향을 줬다고 한다.
백화점 사업 매출은 지난해 7조2435억원으로 전년보다 2.8% 늘어나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344억원 줄어 4055억원으로 집계됐는데, 통상임금 추정 부담금 등 일회성 비용을 제외하면 전년과 비슷하다고 신세계는 밝혔다.
환율이 급등하면서 면세점 사업은 적자 전환했다. 신세계디에프(면세점) 매출은 2조60억원으로 4.7% 늘었으나 영업이익은 전년보다 1225억원 줄어 359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고환율에 따라 공항 매출이 부진했고 임차료 부담도 늘어난 데다 부산점 철수로 인해 희망퇴직 비용 등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됐다.
패션 계열사인 신세계인터내셔날 매출은 3.4% 감소한 1조3086억원이었고, 영업이익은 219억원 줄어든 268억원으로 집계됐다. 무더위로 인한 이상기온 현상과 국내 의류시장 부진, 퇴직충당금과 같은 일시적 비용이 발생한 결과라고 신세계는 설명했다.
신세계까사와 센트럴시티, 신세계라이브쇼핑은 전년보다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늘었다. 신세계까사는 전년보다 영업이익이 179억원 늘어 처음으로 연간 흑자를 기록했다.
신세계는 기업가치 제고를 위해 주당 배당금을 4000원에서 4500원으로 12.5% 늘렸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