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일본, 대만 등 각국 딥시크 사용 금지
중국 정부 맘만 먹으면 개인정보 수집 가능
AP "딥시크서 차이나 모바일 코드 발견해"
각국이 보안 우려로 중국 인공지능(AI) 서비스인 ‘딥시크’(DeepSeek)의 접속을 차단하고 있는 가운데, 우리 정부도 딥시크 금지령을 내렸다.
6일 기획재정부는 “딥시크와 관련한 대내외의 기술적 우려가 다수 제기되고 있어 외부 접속이 가능한 PC에 딥시크 접속을 차단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외교부·국방부·산업통상자원부 등 부처는 이미 전날부터 딥시크 이용 제한을 시작했다. 이어 통일부, 농림축산식품부, 보건복지부, 환경부 등 전부처로 접속 차단 조치가 확산하고 있다.
행정안전부가 4일 중앙부처와 17개 광역지방자치단체에 딥시크와 챗GPT 등 생성형 AI 사용에 ‘유의’해 달라고 요청한 데서 한발 더 나아간 조치다.
호주·일본 등 각국, 딥시크 정부기관 사용 금지
이미 호주, 일본, 대만이 정부 소유 기기에서 딥시크 사용을 금지했고, 미국에선 텍사스주가 이런 조처를 했다. 이탈리아에선 앱스토어에서 딥시크를 내려받을 수 없다. 미국 국방부 역시 딥시크의 사용을 차단했다.
네트워크 보안 업체인 넷스코프와 아르미스 등은 민간 기업과 정부 기관들로부터 딥시크 사용을 막아 달라는 요청을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금융권도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KB국민은행은 3일부터, 국책은행인 수출입은행은 지난달 31일부터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다. 인터넷은행인 토스뱅크도 딥시크 서비스 접근을 잠정 차단했다. 이 밖에 카카오, LG유플러스, 한국수력원자력 등이 업무용 딥시크 사용을 금지했다.
최근 혜성처럼 등장한 딥시크는 이용자의 개인정보나 연결된 기업 정보 등을 중국 정부로 유출할 수 있다는 의심을 받고 있다.
6일 현재 딥시크 약관에 따르면, 딥시크는 서버를 중국에 두며, 사용자의 프로필, 사용자가 입력한 텍스트 또는 음성, 프롬프트, 업로드된 파일, 피드백, 채팅 기록 및 기타 콘텐츠를 수집할 수 있다. 사용자의 키 입력 패턴 또는 리듬, IP주소, 시스템 언어도 수집한다.
사용자 정보는 약관과 기타 정책에 따라 커뮤니티의 안전과 건전성을 보호한다고 밝혔지만, 법적 의무를 준수하고, 공익적 목적을 수행하며, 사용자 및 기타 사람들의 중요한 이익을 보호한다고도 했다.
중국 당국 원하면 기업 데이터 볼 수 있어
대부분의 정보기술(IT) 서비스가 개인정보를 수집하지만, 중국 기업의 경우 특히 정보 유출에 대한 우려가 크다. 중국 법에 따라 중국 당국이 원할 때 언제든지 개인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고 보고 때문이다.
2017년 제정된 중국 국가정보법 제7조에 따르면 모든 조직과 시민은 국가 정보 업무를 지원하고 협력해야 한다. 같은 해 시행된 사이버보안법에는 기업이 수집한 데이터를 정부가 필요할 때 제공해야 한다고 돼 있다.
이에 더해 2021년 시행된 데이터보안법과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중국 내에서 운영하는 기업은 보유한 데이터를 중국 정부가 요구할 경우 제공해야 하며, 중국 내 개인 데이터는 중국 내에 저장해야 한다.
미국이 중국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인 틱톡의 자국내 사용을 금지한 것도 이런 정보 유출 우려 때문이다.
미국 타임지는 실제 2022년 틱톡 직원들이 기자들의 위치 데이터를 불법으로 추적했으며, 미국 시민들의 위치 데이터를 이용해 특정 인물을 감시하려 했다고 전했다. 2019년엔 내부검열 지침에 따라 천안문 사건이나 티베트 독립운동 같은 중국 정부에 민감한 주제와 영상을 삭제했다는 보도도 있었다. 국가안보에 대한 우려 속에 2023년엔 미국 하원이 틱톡에 대한 청문회를 열었다. 틱톡은 지난달 19일(현지시간) 미국에서 서비스가 중단됐다가 20일 취임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으로 75일간 서비스 중단을 유예받았다.
틱톡보다 더 광범위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딥시크에 대한 정보 유출 우려는 더 클 수밖에 없다.
AP는 6일(현지시간) 캐나다 사이버보안 업체의 조사결과를 인용해, 딥시크에서 중국 국영 통신사인 차이나모바일 소유의 컴퓨터 인프라와 연결되는 코드가 발견됐다고 보도했다. 통신은 코드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다른 전문가를 통해 재검증했다면서, 북미에서 딥시크 로그인 테스트를 할 때는 차이나모바일로 전송된 데이터는 발견되지 않았지만 일부 사용자의 데이터가 중국 통신사로 전송됐을 가능성을 배제하진 않았다.
미국 연방통신위원회는 2019년 차이나모바일과 중국 정부의 연계성과 관련, 국가안보에 대한 ‘상당한 우려’를 이유로 차이나모바일의 미국 내 사업 운영권 허가를 거부한 바 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