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전북대, ‘남원 캠퍼스와 지역 승수효과’ 모색

입력 : 2025-02-20 17:30:45 수정 : 2025-02-20 17:30:44

인쇄 메일 url 공유 - +

전북대학교가 폐교된 옛 서남대 캠퍼스를 새로운 지역 발전 거점으로 만들어 지역 사회와 상생·발전의 승수효과를 창출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전북대 지역발전연구원은 20일 남원시 죽항동 소재 이음센터에서 남원발전연구소와 함께 ‘남원 미래를 여는 세 가지 해답’을 주제로 한 포럼을 열어 지역 발전의 지속 가능한 전략을 다각적으로 논의했다고 밝혔다.

양오봉 전북대 총장이 20일 남원 이음센터에서 열린 남원시 현안 대응 정책연구와 제언 포럼에서 인삿말을 하고 있다. 전북대 제공

이날 포럼은 지역 문제를 함께 연구하고 해결책을 공유하기 위해 마련된 자리다. 참여 교수들은 폐교된 서남대 캠퍼스의 활용 방안을 다각도로 모색하며, 지역 현안을 해결하는 중요한 거점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황인섭 교수(경영학과)는 남원시 기관 이전 유휴부지 활성화 방안을 통해 “서남대 캠퍼스를 원도심 특화형 프로젝트로 재생해 남원 야간관광 특화 도시로 조성하는 접근법을 고려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특히 “캠퍼스를 지역 관광과 결합하는 전략이 지역 경제 활성화에 큰 기여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안득수 교수(조경학과)는 남원 허브밸리 활성화 방안을 제시했다. 그는 “서남대 캠퍼스를 활용해 지리산 사계의 자생식물 환경공원으로 변모시킬 수 있다”며 “관광, 휴양, 치유 시장에 대응하는 세분화된 시장 전략을 통해 캠퍼스를 지역 발전의 중심지로 만드는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고 역설했다.

 

김윤영 교수(사회복지학과)는 통합돌봄 지원을 위한 체계 구축 방안에 대해 “서남대 캠퍼스를 지역 맞춤형 돌봄 서비스의 중심으로 활용해 고령화가 심각한 지역 내 방문형 돌봄과 건강관리 서비스를 중심으로 설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양오봉 전북대 총장은 “서남대 캠퍼스를 활용하는 것은 학령인구 감소와 지역 소멸 위기 에서 대학과 지역이 상생하는 중요한 기회가 될 것”이라며 “대학의 연구 성과를 지역 현안 해결에 적용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새로운 모델을 창출하는 데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남원=김동욱 기자 kdw7636@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홍화연 '깜찍한 손하트'
  • 홍화연 '깜찍한 손하트'
  • 김민주 '신비한 매력'
  • 진기주 '해맑은 미소'
  • 노정의 '시크한 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