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미국이 전략 산업에서 미국의 대(對)중국 투자와 중국의 대미 투자를 제한하겠다는 ‘미국 우선주의 투자 정책’을 발표하자 중국은 반발하며 필요한 조치를 취하겠다고 경고했다.

중국 상무부 대변인은 22일 상무부 홈페이지에 올린 입장문에서 “미국의 방식은 국가 안보 개념을 일반화한 것으로 차별적 성격을 갖고 있고 전형적인 비(非)시장적 처사”라며 “양국 기업의 정상적 경제·무역 협력에 심각한 영향을 준다”고 비판했다. 상무부 대변인은 “중국의 대미 투자에서 미국이 중국 투자자에 더 엄격한 안보 심사를 하는 것은 중국 기업의 대미 투자 신뢰에 심각한 타격을 입힐 것”이라며 “미국이 중국 기업의 대미 투자에 공평·투명·안정·예측 가능 환경을 제공해주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미국의 대중 투자 제한 역시 “매우 불합리하다”며 “많은 미국 기업단체와 기업은 대중 투자 제한 때문에 중국 시장을 다른 경쟁 상대에 넘겨줘야 할 것이라고 말해왔다”고 강조했다.
대변인은 “중국은 미국이 국제 투자·무역 규칙을 준수하고 시장 경제 규칙을 존중하며 경제·무역 문제의 정치화·무기화를 중단할 것을 촉구한다”며 “중국은 미국의 동향을 면밀히 주목하면서 필요한 수단을 채택해 합법적 권익을 수호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1일(현지시간) 전략 산업에서 동맹국의 대미 투자를 장려하면서 미중 쌍방 투자를 제한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미국 우선주의 투자정책 각서에 서명했다. 미국에 해로운 ‘적대국’의 투자를 막겠다는 취지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이 외국인투자심의위원회(CFIUS) 등 모든 필요한 법적 도구를 이용해 중국 관련 개인과 기업이 미국 기술·핵심 기반 시설·의료·농업·에너지·원자재나 기타 전략 분야에 투자하는 것을 제한하고, 중국 반도체·인공지능(AI)·양자·생명공학·극초음속·항공우주·첨단 제조·지향성 에너지 등에 대한 미국 기업의 투자 제한을 신설하거나 확대하겠다고 했다. 또 사모펀드·벤처캐피털·그린필드 투자·기업 확장·연기금·대학 기금 등 다양한 유형의 대중 투자를 제한하는 방안도 고려하겠다고 밝혔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