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김상욱 의원은 24일 “역사적 아픔의 현장이자 민주주의의 상징인 광주 금남로에서 탄핵 반대·계엄 찬성 집회가 열려 송구하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이날 광주 국립 5·18 민주묘지를 참배한 뒤 취재진과 만나 “12·3 비상계엄 당일부터 광주항쟁과 같이 시민들이 피를 흘리는 일은 절대 없게 하고 5·18 영령들께 송구하다는 인사를 꼭 드려야겠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던 차에 지난 15일 광주에서의 계엄 찬성 집회를 보고 선을 넘는 일이라고 판단해 더 서둘렀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광주는 불법 비상계엄과 독재에 맞서 시민들께서 피 흘리며 항쟁하고 학살이 은폐됐던 곳인데 그런 곳에서 계엄군이 십자군이라는 표현까지 등장했다는 것은 잔인한 일”이라며 “민주주의 본질에 대한 모욕이자 훼손”이라고 질타했다.
또 “보수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민주주의·법치·헌정질서 수호 가치를 기준으로 볼 때 더 분개할 수밖에 없는 일”이라며 “집회 시위의 자유를 막지는 못하겠지만 행위에 대한 역사의 평가는 반드시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 의원은 “우리 보수 정당에서 민주주의와 헌정 질서를 훼손하는 언행이 나오는 것이 진정한 해당 행위”라며 “우리 보수의 가치가 절대 민주주의를 함부로 하는 것이 아니고 소중히 여기는 것임을 꼭 말씀드리며 제힘을 다해 지키겠다고 약속드린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의 ‘중도 보수’ 발언에 대해서는 “보수의 가치가 필요하다고 선언하고 보수의 가치를 인정하는 것은 감사한 일이다. 비판할 것은 아니다”라며 “중요한 것은 앞으로 어떤 실행을 해 갈 것인가라는 문제”라고 덧붙였다. 김 의원은 이날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소방본부 조합원 20여명과 묘역을 찾아 국화 1500송이를 묘비에 헌화했다.
한편, 김 의원은 전날 친한(친한동훈)계 단체 텔레그램 대화방인 ‘시작2’에서 다른 친한계 의원들의 요청에 따라 대화방을 나온 것으로 전해졌다. 친한계 한 의원은 통화에서 “김 의원이 개별 국회의원으로 활동하는 것은 상관없지만, 개인 행보가 한 전 대표와 연결돼 해석되는 것은 한 전 대표에게 부담이 된다”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