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무선 인터넷 사용 환경과 관련된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면서 해킹사고도 끊이지 않고 있다. 전문가들을 해킹을 100% 막기는 어렵다고 보고 있다. 뚫는 자와 막는 자 사이에 창과 방패의 대결이 진행되면서 날이 갈수록 해킹 기술이 고도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개인정보 유출로 치명적인 피해를 당할 수 있다는 점이다. 과거에는 해킹이 단순히 자신의 솜씨를 뽐내기 위한 차원이었지만, 이제는 분명한 범죄 목적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개인정보 유출은 심각한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
![]() |
사상 초유의 해킹 사건으로 위기를 맞은 SK커뮤니케이션즈의 서울 서대문구 미근동 본사 모습. 28일 SK컴즈는 네이트와 싸이월드 회원 3500만명의 정보가 유출됐다고 밝혔다. 남제현 기자 |
더구나 해킹은 전 세계 기업과 기관을 대상으로 발생하고, 사용자들이 외국 기업에도 개인정보가 노출돼 있어 국내 기업들이 아무리 완벽한 보안 시스템을 갖추더라도 해킹을 막기 어려운 실정이다.
보안전문가들은 가장 쉽게 개인정보를 지킬 수 있는 방법으로 여덟 자리 이상의 비밀번호를 사용할 것을 권장한다. 영문과 숫자, 특수문자를 조합해 여덟 자리 이상의 비밀번호만 만들어도 해킹으로 뚫기가 매우 어렵다는 것이다. 여기에 주기적으로 비밀번호를 바꿔주면 개인도 이중 삼중의 보호막을 치는 셈이어서 소중한 개인정보를 지킬 수 있다.
안철수연구소의 한 보안전문가는 “모든 소프트웨어는 100% 안전하지 않아 반드시 해커가 뚫을 수 있는 구멍이 있기 마련”이라며 “기업들이 개인정보를 암호화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개인이 아이디와 패스워드 관리만 잘해도 해킹 사고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최현태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