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과학 편중 탈피 정보·발명·예술 등으로 다양화 뛰어난 잠재력을 갖췄지만 경제적 형편이나 가정환경 탓에 영재교육을 받을 수 없었던 학생을 위해 맞춤형 진단검사가 도입된다. 수학과 과학에 편중된 영재교육 분야도 정보·발명·예술 등으로 확대된다.
교육부는 2일 영재교육 다양성 확대에 초점을 맞춘 ‘제3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교육부는 다문화 가정 학생 등 그간 영재교육 기회가 부족했던 소외계층을 위해 맞춤형 진단검사를 도입한다. 예를 들면 과학적 자질이 뛰어나지만 한국어가 서툴러 실력 발휘를 못하는 학생을 위해 별도의 진단검사를 마련하겠다는 것이다.
또 도서·벽지나 저소득층 우수학생을 대상으로 사이버 영재교육을 실시하거나 상담·학습 도우미를 지원할 방침이다.
전체 영재교육 대상 학생 가운데 소외계층 학생 비중은 2012년 현재 2.46%로, 2009년(2.81%)보다 되레 줄었다. 교육부는 소외계층 영재 학생을 적극 발굴해 이들의 비율을 2017년에 10%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수학과 과학 위주의 영재교육도 발명·정보 등 다양한 분야로 확대된다. 수학+정보, 과학+예술처럼 영역 간 통합 형태의 운영도 강화된다. 이를 통해 현재 17%에 불과한 수학과 과학 이외 분야의 영재교육 비중을 2017년에 22%까지 높일 방침이다.
영재교육이 사교육을 유발하지 않도록 영재선발 시 교사 관찰과 추천제가 확대 시행된다. 교사관찰·추천제는 영재성 검사나 창의성 검사 같은 표준화된 검사 대신 일선 교사가 4∼6개월간 학생의 지적능력과 창의성을 관찰한 결과를 바탕으로 영재 학생을 뽑는 방식으로, 지금은 48%의 기관에서만 활용하고 있다. 교육부는 체크리스트·수행관찰 도구 등을 지속적으로 보완해 2017년에는 70%의 영재교육 기관에서 교사관찰·추천제를 시행하도록 할 방침이다.
교사추천서 작성 시 올림피아드 등 각종 경시대회 입상 실적, 교과 관련 인증시험 결과 등은 기재할 수 없도록 했다. 교사가 영재의 특징을 알아차리지 못하거나 ‘이상한 아이’로 치부해버리는 일이 없도록 교사의 안목을 높이기 위한 연수가 강화된다.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가이드라인이 없어 지역별로 수준 차가 생긴다는 지적에 따라 국가표준 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도 만든다. 2016년까지 교수학습 방식과 강사진, 교재활용 등 세부 평가 준거를 개발해 2017년부터 전체 영재 교육기관에서 활용토록 한다.
또 영재교육 종합데이터베이스(GED)를 확충해 대상 학생의 이력을 관리할 계획이다. GED는 2009년에 구축됐지만 예산부족 등의 문제로 영재 학생수 같은 기본적인 통계만 제공했다. 교육부는 이를 확대해 학생의 졸업 후 진로까지 추적·관리하는 ‘영재성발달기록부(가칭)’를 운영하고, 원하는 학생은 영재성 진단과 상담을 받을 수 있도록 서비스를 확대할 계획이다.
한국교육개발원 영재교육연구원 이재분 소장은 “외국 영재교육의 흐름을 보면 소수 엘리트를 양성하는 것보다는 잠재력을 개발하고 소외계층에 초점을 맞추는 추세”라며 “영재교육의 다양성을 높이고 내실화하는 것이 이번 계획의 목표”라고 전했다.
현재 우리나라 영재교육대상 비율은 전체 초·중·고생의 1.87%(2만1433명)로 미국(주별 1∼20%), 영국·호주·싱가포르(5%)보다 낮은 편이다.
윤지로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