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中, 국방장관 회담서 '사드' 한국 배치 우려 표명

입력 : 2015-02-04 17:41:00 수정 : 2015-02-04 17:59:33

인쇄 메일 url 공유 - +

 

사드 미사일(자료사진)


창완취안(常萬全) 중국 국방부장은 4일 서울에서 열린 한중 국방장관 회담에서 미국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인 ‘사드’(THAAD)의 한국 배치 가능성에 우려를 표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방부 고위관계자는 “중국은 사드의 한반도 배치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며 “한 장관은 ‘사드 배치는 미국에서 아직 결정하지 않았고 미국의 요청이나 한미간 협의도 없다’는 기존 입장에 변화가 없다고 설명했다”고 전했다.

중국 국방부 고위 관리가 사드의 한반도 배치에 대한 입장을 우리 측에 공식 표명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중국은 사드의 한국 배치가 동북아에서 미국의 영향력을 강화하는 역할을 할 것에 대해 강한 경계심을 보여왔다.

미국은 지난해 초 사드의 한국 배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한 부지조사를 마쳤으며 같은해 6월 커티스 스캐퍼로티 주한미군사령관이 사드 한국 배치를 본국에 요청했다고 밝혀 논란을 키웠다.

한민구 국방장관(자료사진)




한편 양국은 전략적 소통 강화를 위해 국방부간 직통전화(핫라인)를 이른 시일내에 개통할 수 있도록 실무협의를 강화하기로 합의했다.

양국 국방부간 핫라인 설치를 위한 실무회의는 다음 주부터 시작될 것으로 알려졌다. 군 관계자는 “실무회의는 통신담당 부서의 과장급 인사들이 참여한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이르면 올해 상반기 중 양국 국방부를 연결하는 핫라인이 개설될 전망이다.

양국은 2008년 11월부터 해군과 공군의 사단 및 작전사령부급 부대에서 직통전화를 설치해 운용하고 있다. 해군 2함대는 중국 칭다오의 북해함대사령부 작전처와 핫라인을 구축했고, 공군 중앙방공통제소(MCRC)는 중국 지난군구 방공센터와 핫라인을 설치했다.

여기에 국방부간 핫라인이 구축되면 우발적 군사 충돌 방지는 물론 양국군의 교류 협력에도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이밖에도 양국은 지난해 437구의 중국군 유해를 우리측이 중국에 송환한데 이어 국내에서 추가 발굴된 6.25 전쟁 당시 중국군 유해 68구를 올해 3월 송환하는데 합의했다.

국방부측은 “중국은 우리의 유해 송환 노력에 감사를 표시했다”며 정밀 감식을 거쳐 청명(4.5) 이전에 유해를 중국으로 돌려보내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중국측은 다음 주 유해송환을 협의할 실무진을 서울로 보낼 것으로 알려졌다.

양 장관은 이날 회담에서 한반도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 및 안정에 관한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으며, 한 장관은 “북한이 도발하면 단호하게 대응할 것”이라는 입장을 분명히 밝혔다고 국방부는 전했다.

북한이 중단을 요구하는 한미 연합훈련과 한미 동맹의 필요성에 대해 중국은 공감하는 분위기였다고 국방부는 밝혔다.

국방부 관계자는 “한중 양국은 한미동맹이 북한의 도발을 억제해서 동북아의 평화안정에 기여한다는 것에 공감했다”며 “한 장관은 미국과 포괄적 전략동맹관계와 중국과의 전략적 협력 동반자적 관계를 상호 조화롭게 발전시켜 나간다는 정부 기본입장을 강조했다”고 말했다.

양측은 PKO(유엔평화유지활동), 해적 퇴치 등 평화 유지 목적의 국방협력 강화와 사이버 분야에 대한 협력 방향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반면 한미일 정보공유약정과 북한 급변사태, 방공식별구역 문제 등에 대한 언급은 없었다고 국방부는 설명했다.

회담에서 창 부장은 한 장관이 내년 편리한 시기에 중국을 방문할 것을 요청했다.

회담에 앞서 창완취안 부장은 모두발언을 통해 “이번 한국 방문은 저의 세 번째 방문이자 국방부장 취임 이후 첫 방문이다. 한국을 방문할 때마다 저의 집에 왔다는 느낌이 든다”며“한중 양국은 서로 중요한 이웃이고 좋은 파트너, 좋은 친구”라고 말했다.

그는 “이번 방문을 통해 양국 정상이 양국 군 관계를 발전시키는 데 합의한 공동인식을 현실화하고 양국 군의 교류협력을 추진하는 한편 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지키는 일련의 문제에 대해서 의견을 교환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한 장관은 “양국은 성숙한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에 부합하는 수준으로 관계를 발전시켜나가기 위해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해 왔다”며 “9년 만에 이루어지는 창완취안 부장의 방한은 양국 정상 간 합의를 충실하게 이행하는 의미가 있는 한편 양국 국방당국 간 전략적 소통을 강화하고 교류협력을 한층 증진시키는 중요한 계기가 되리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중국 국방부장의 방한은 9년 만이며, 창 부장은 5일 출국한다.

박수찬 기자 psc@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장희령 '해맑은 미소'
  • 장희령 '해맑은 미소'
  • 정소민 '완벽한 미모'
  • 이영애 '눈부신 미모'
  • 혜리 '완벽한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