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양병원 사망 90대 오미크론 감염
해외입국 70대도 위중증 산소치료
무증상·경증 많다지만 감염자 급증
중증·사망자 늘어 의료체계 큰 부담
PCR 검사만으로는 전파 차단 한계
30분 내 판정 항원검사 확대 검토
국내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오미크론 감염자 중 첫 사망자가 발생했다. 방역 당국은 오미크론이 결코 안심할 수 없는 변이 바이러스라고 경고했다. 빠른 확산세에 대비해 검사·진단·치료의 효율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방역전략 전환도 예고했다.
3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광주광역시에서 오미크론 감염 환자 2명이 숨졌다. 국내에서 오미크론에 감염된 사망자가 나온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들은 모두 광주 남구 한 요양병원에 입원해 있던 90대 환자로, 병원 내 집단감염이 발생하면서 지난달 25일과 26일 각각 확진 판정을 받았다. 2차 접종 완료 후 3차 접종 전이었다. 두 사람은 대학병원으로 이송돼 치료를 받다 27일, 29일 잇따라 사망했다. 한 명은 오미크론 감염이 확인됐고, 한 명은 감염이 의심되나 검사결과가 나오지 않은 상태였다.
이날 오미크론 감염자 중 위중증 환자도 1명 발생했다. 해외에서 입국한 70대로, 입국 후 격리 중 확진 판정을 받은 뒤 증상이 악화해 고유량 산소치료를 받고 있다.
박영준 방대본 역학조사팀장은 “사망자 2명은 기저질환, 90대 고연령이 사망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며 “오미크론 감염자 대부분이 60대 미만이라 경증이 대부분이었으나 지역사회 전파가 커지면서 취약집단에 전파될 경우 중증·사망 사례가 나올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방역 당국은 오미크론 감염자 중 무증상·경증이 많다고는 하지만 확산하면 중증·사망자도 늘어 의료체계 부담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오미크론은 이미 국내에서 세력을 넓혀가는 상황이다. 이날 0시 기준 오미크론 감염자는 1318명이며, 감염의심자를 포함하면 2071명이다. 오미크론 검출률은 12월2주 1.3%였으나 12월4주 3.7%, 12월5주(12월26일∼1월1일) 8.8%로 급상승하고 있다. 국내 검출률은 12월4주 1.8%에서 12월5주 4%로, 해외 입국 확진자는 같은 기간 36.2%에서 69.5%로 증가했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오미크론이 델타보다 오히려 더 위험할 수 있어 긴장하고 있다”며 “오미크론의 중증화율·치명률이 델타의 30∼50% 수준이어도 감염규모가 2∼3배 커지면 실질적인 코로나19 피해는 같거나 더 커진다”고 우려했다.
정부는 오미크론에 대응하기 위한 방역전략을 구상 중이라고 밝혔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역학조사와 진단검사, 치료역량 전반을 더 빠르고 기민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전면적으로 개편하는 일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오미크론의 빠른 전파속도를 따라잡기 위한 신속검사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하루 정도 걸리는 PCR(유전자증폭) 검사로는 오미크론 전파 차단에 한계가 있다는 게 방역 당국의 판단이다. 이를 위해 코로나19 항원검사가 확대될 전망이다. 항원검사는 스스로 채취한 검체로 30분 내 결과를 알 수 있어 편의성이 높다. 다만 정확도가 떨어진다. 이상원 방대본 역학조사분석단장은 “오미크론이 확산하면 중증 이환 가능성이 있는 접촉자·확진자를 먼저 찾아내는 게 역학조사의 첫 번째 우선순위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경증 환자 급증에 대비한 의료체계도 점검하고 있다. 무엇보다 재택치료자 관리 인력과 단기 외래진료센터 확충, 안정적인 이송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무증상·경증 환자가 많아지는 만큼 동네의원의 코로나19 환자 관리 참여 필요성도 제기된다. 박향 중수본 방역총괄반장은 “무증상·경증 환자가 늘어난 만큼 절대적인 재택치료자 수가 늘 것이라서 시스템을 어떻게 안정적으로 운영할지 현 의료체계 안에서 재택치료자 관리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며 “의원급 의료기관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코로나19 정보, 오미크론 대응 방향을 함께 공유하는 것부터 시작하려 한다”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