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고사직전까지 갔던 원전 생태계 복원에 정부가 발 벗고 나섰다. 정부는 어제 창원 경남도청에서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를 개최하고 원전추진 성과 및 원전 최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2050 원전 로드맵’을 발표했다. 원전 일감에 3조3000억원을 투자하고, 기업들에 대한 특별 금융프로그램도 1조원으로 확대키로 했다. 임기 5년 동안 원전 연구개발 혁신에 4조3000억원을 투입하기로 한 셈이다. 정부는 원전산업 지원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원전산업지원특별법’도 제정키로 했다. ‘2050 원전 로드맵’이 우리나라 원전 재도약의 디딤돌이 되기를 기대한다.
정부가 한국 원전산업의 상징으로 꼽히는 창원에서 중장기 원전 로드맵을 밝힌 그 자체만으로도 의미가 상당하다. 과거 문재인정부는 이념에 사로잡힌 탈원전 정책으로 세계 조류와 정반대의 길을 걸었다. 정부가 세계 일류 수준인 원전산업 죽이기에 앞장서는 한심한 짓을 한 것이다. 7000억원을 들여 거의 다 지은 원전 건설을 중단하게 해 국민세금을 축냈다. 고비용·저효율의 신재생에너지에 매달리는 바람에 한국전력에 47조원이라는 적자를 안겼다. 한전뿐 아니라 산업계 전반에 미친 악영향은 이루 다 말할 수 없을 지경이다.
탈원전 정책을 폐기한 현 정부의 지난 2년 성과에서 보듯 원전은 우리의 미래 먹거리다. 2022년 5월 출범한 윤 정부 첫해 2조4000억원이던 원전 일감은 지난해 3조원으로 확대됐다. 또 이집트 엘다바 프로젝트와 루마니아 삼중수소 제거설비 건설사업 등으로 인한 원전 수주액이 4조원을 웃돌아 지난 정부 수출액(5900억원) 대비 무려 6배나 증가했다. 현 정부가 원전에 박차를 가하는 상황임을 감안하면 수출액은 앞으로 더 늘어날 게 분명하다.
우리가 세계 10위권 경제대국이 된 데는 안정적 에너지 공급원인 원전 덕이 크다. 이미 전 정부에서 국제사회에 약속한 탄소중립 40% 감축 약속을 지키는 주요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는 에너지원도 원전이다. 전 정부에서 무너진 원전 생태계의 복원이 급선무다. 다행히 관련업계에 생기가 돌고, 없어진 대학의 관련 학과와 학생 수도 는다니 반가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더 이상 이념정치의 흑역사를 되풀이하지 말아야 한다. 원전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의 성패는 관련산업 기반의 재건과 인력 양성의 속도가 관건이 될 것이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