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사설] 지방국립 의대 교수 2배 확충, 사립대 인력도 지원하길

관련이슈 사설

입력 : 2024-03-01 00:14:18 수정 : 2024-03-01 00:14:17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정부가 어제 “지방의 9개 거점 국립대 의대 교수를 2027년까지 1000명까지 늘리고, 실제 운영과정에서 필요한 경우 현장 수요를 고려해 추가로 보강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거점 국립대 의대 교수는 총 1964명인데 여기서 1000명을 더 늘리겠다는 것이다. 올해 5월까지 순차적으로 개소 예정이었던 수도권·충청권·전라권·경상권의 광역응급의료상황실도 다음 달 4일 조기 개소하기로 했다. 지역·필수의료를 강화하고, 국립대병원의 임상과 교육 역량을 높이겠다는 뜻이다. 늦은 감이 있지만 바람직하다.

정부가 지방 국립대 의대 교수를 3년간 1000명 늘리기로 한 것은 의대 2000명 증원 정책에 맞춰 국립대 의대 교육역량을 끌어올리기 위해서다. 소아·산부인과, 외과, 응급의학과 등 필수의료 분야 교수는 법정 정원 기준(교수 1인당 학생 8명)보다 더 많이 확보할 계획이다. 지방에 거주하는 국민의 의료서비스 질이 높아질 것이다. 전공의(인턴, 레지던트) 비상대책위원회가 내놓은 7대 요구 사항 중에 전문의 채용 확대가 포함돼 있다. 박민수 보건복지부 2차관의 말마따나 국립대 병원이 지역의 역량 있는 병원으로 자리매김해 수도권으로의 환자 쏠림도 완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말만이 아니라 실천으로 보여줘야 한다.

우리나라 병원들은 전공의 의존율이 너무 높아 문제다. 지난해 말 기준 서울대병원 전공의는 740명으로 전체 의사의 46.2%를 차지한다. 연세대 세브란스병원은 40.2%, 삼성서울병원 38%, 서울아산병원 34.5%, 서울성모병원 33.8%이다. 전공의들이 주당 80시간 가까이 일하며 병원 업무량의 70% 정도를 처리하는 게 현실이다. 이러니 전공의들이 파업 또는 집단행동을 하면 의료대란이 벌어지는 것이다. 선진국에선 찾아볼 수 없는 모습이다. 일본 도쿄대 부속병원은 전공의 비율이 10%, 미국 메이요클리닉도 레지던트 비율이 11%에 그친다.

‘빅5’ 같은 상급종합병원들부터 전문의 중심으로 재편하는 것이 시급하다. 전공의 숫자와 이들의 근로시간을 크게 줄이는 대신 전문의를 더 늘려야 할 것이다. 지방국립대만이 아니라 전국 사립대 의대·병원들의 전문의도 대폭 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가 세제 혜택 등 재정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병원이 정상적인 구조로 바뀌어야 전공의들이 의료현장을 이탈해 나라 전체를 뒤흔드는 사태가 되풀이되지 않을 것이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정혜성 '심쿵 눈빛'
  • 정혜성 '심쿵 눈빛'
  • 르세라핌 홍은채 '여신 미소'
  • 르세라핌 허윤진 '매력적인 눈빛'
  • 김혜수 '천사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