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보 3점 등 소장품 64점 교체
故 이건희 기증 고려 사경 포함
‘감지금니 화엄경’ 일반 첫 공개
종교적 가르침을 한 글자씩 정성껏 옮겨 적으며 수행하는 사경(寫經)은 고려 시대 이후 널리 퍼졌다. 온 마음을 다해 금·은빛 글자로 써 내려간 고려 사경이 오랜만에 한자리에 모인다. 국립중앙박물관은 국보 3점, 보물 3점을 포함한 소장품 총 44건 64점을 상설전시실의 중·근세관에서 새롭게 선보인다고 16일 밝혔다.
그중에서도 눈에 띄는 것은 고려 사경 4점을 배치해 당시의 불교문화를 소개하는 고려실이다. 바로 고 이건희 삼성 선대 회장이 기증한 국보 ‘감지은니 불공견삭신변진언경(紺紙銀泥 不空羂索紳變眞言經)’·‘감지은니 묘법연화경(紺紙銀泥 妙法蓮華經)’, ‘감지금니 대방광불화엄경(紺紙金泥 大方廣佛華嚴經)’ 3점이 포함됐기 때문이다.

이 가운데 ‘감지금니 대방광불화엄경’은 2021년 기증받은 이후 처음 공개하는 작품이다. 금가루를 아교풀에 개어 만든 안료로 감색 종이를 채운 이 유물은 오탈자 없이 빼곡하게 적힌 글자도 일품이지만 경전 내용이나 교리를 표현한 그림인 변상도(變相圖)가 인상적이다. 변상도는 사경을 더 섬세하고 화려하게 꾸미는 그림으로, 불교에서 도리천의 왕을 의미하는 수호신인 ‘제석천’이 코끼리를 탄 채 악신인 '‘아수라’의 군대를 쳐부수는 장면을 담고 있다.
국보로 지정된 두 고려 사경 역시 눈여겨볼 만하다. 특히 ‘감지은니 불공견삭신변진언경’은 고려 충렬왕(재위 1274∼1308) 때 대장경을 손으로 직접 베껴 쓰는 사경 사업을 왕명으로 추진했다는 사실을 엿볼 수 있어 연구 가치가 크다.
조선실에서는 1450년 당시 조선을 방문한 명나라 사신 예겸과 집현전 학자 정인지, 성삼문, 신숙주가 주고받은 시를 모은 보물 ‘봉사조선창화시권’을 볼 수 있다. 조선 왕의 국서를 가진 통신사 일행이 일본 오사카 인근에서 도쿠가와 막부가 제공한 배로 바꿔 타고 이동하는 장면을 그린 ‘국서누선도’도 주목할 만하다. 고 이건희 회장이 기증한 국보 ‘초조본 현양성교론’(初雕本 顯揚聖敎論), 보물로 지정된 ‘청구관해방총도’(靑丘關海防摠圖), ‘조숭 고신왕지’(趙崇 告身王旨)도 오랜만에 전시로 선보인다.
대한제국실에는 근대식 교과서인 ‘산술신서’, ‘물리학초보’ 등 다양한 근대 문물 관련 전시품이 관람객을 맞는다. 이번에 교체한 전시품은 9월 말까지 볼 수 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