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현대인의 생활 깊숙이 들어와 있는 편의점은 1927년 미국 텍사스주 댈러스에서 사우스랜드라는 얼음 회사가 열었던 ‘세븐 일레븐’이 효시다. 얼음을 활용해 신선한 우유와 빵, 달걀 등을 팔기 시작하며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처음 영업시간은 오전 7시부터 오후 11시까지였다. ‘세븐 일레븐’이라는 이름도 여기서 유래했다. 미국 편의점에 24시간 영업이 도입된 것은 1960년대 들어서다.

서울 시내 한 편의점에서 치킨을 판매하는 모습. 뉴시스

편의점의 발상지는 미국이지만 일본이 1974년 편의점을 도입한 후 백화점 매출을 꺾는 등 ‘편의점 왕국’으로 자리매김했다. 일본 세븐 일레븐은 1991년 경영난에 빠진 미국의 세븐 일레븐 운영사를 사들이기도 했다. 한국에선 1989년 서울 송파구 방이동에 문을 연 세븐 일레븐 올림픽 점이 실질적인 1호점으로 지금도 영업 중이다. 후발 주자인 한국 편의점은 일본 편의점의 운영 노하우를 베끼기에 바빴다.

 

하지만 최근 들어 한국 편의점이 일본 편의점을 뛰어넘었다. 무한 진화를 거듭해 온 덕이다. 한국 편의점은 꾸준히 늘고 있지만, 일본 내 편의점은 2022년 6월 이후 계속 줄고 있다. 국내 편의점이 일본 업체를 뛰어넘은 비결로 다양한 신상품과 판매 이벤트를 쏟아내는 기획력이 꼽힌다. 조립식 주택, 친환경 화장실까지 판매하고, 인쇄소, 우체국, 약국, 은행 역할도 한다. 혁신 속도에서도 일본 업체를 능가하고 있다. 세계 최고 정보기술( IT) 인프라를 바탕으로 배달 서비스, 모바일 앱 서비스 등을 일찌감치 도입했다. 한국 편의점을 벤치마킹하는 일본 편의점 기업까지 생겨나고 있다.

 

K 편의점은 동남아시아 등 해외에서도 훨훨 날고 있다. 일부 국가에서는 편의점 종주국인 미국과 일본을 꺾으며 대활약 중이다. CU는 몽골에서 70%의 시장 점유율을 자랑한다. GS25는 남부 베트남 지역에서 운영 점포 수 1위를 기록했다. 일찌감치 동남아에 진출한 일본 편의점도 K 편의점의 질주에 본격적인 맞대응에 나섰다. 무차별적 근접 출점과 고율의 가맹수수료, 알바생 최저임금 논란이라는 그늘도 있지만, K 편의점의 순발력과 경쟁력만큼은 인정해야 할 것 같다. 앞으로 치열하게 펼쳐질 동남아 지역 ‘편의점 한·일전’에서도 K 편의점이 선전하기를 기대한다.


박창억 논설위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카리나 '아자!'
  • 카리나 '아자!'
  • 나연 '깜찍한 브이'
  • 시그니처 지원 '깜찍하게'
  • 케플러 강예서 '시크한 매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