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 1명… 호흡기과 초진 중단
전남대선 “추석 정상 진료 불가능”
지방 중소병원 경증·비응급환자
7만여명 줄었지만 사망은 29%↑
당국 “연령·기저질환 분석 필요”
의료계 97% “개원면허제 반대”
의료대란의 여파로 국립대 어린이병원들도 병원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남대 어린이병원은 추석 연휴 기간 응급실 정상운영이 불가능하다고 밝혔고, 부산대 어린이병원은 인근 병원에 환자 전원 요청을 자제해달라고 한 것으로 확인됐다. 국립대 어린이병원은 비수도권 지역의 소아 중환자 등을 전담하고 있어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전원 자제’ 요청, 추석 응급실 진료도 우려
11일 국회 교육위원회 더불어민주당 백승아 의원이 전국 국립대 어린이병원 6곳의 운영 현황을 확인한 결과 3곳(부산대·전북대·전남대)에서 의정갈등 사태가 터진 후 의료진이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부산대 어린이병원의 경우 외래진료를 하는 소아청소년과 전문의는 올해 초 36명에서 현재 34명으로 줄었다. 이들을 포함해 부산대 어린이병원에서 외래진료를 하는 전체 전문의는 73명에서 68명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대 병원은 부산·울산·경남 권역에서 유일하게 소아중환자실을 운영하는 곳으로, 신생아중환자실도 권역 최대 규모다. 소아청소년과 전공의 부족은 모든 병원에서 겪는 어려움이지만, 부산대 어린이병원 측은 중환자 비중 등이 높아 남은 의료진의 업무 부담이 더 크다고 설명했다.
부산대 어린이병원의 소아청소년과 전공의 정원은 17명이지만 현원은 1명이고, 소아응급 전담의는 지난해 6명에서 현재 4명으로 줄었다. 이런 여파로 이달 초에는 소아전문응급의료센터 호흡기클리닉 초진 진료도 잠정 중단됐다.
병원은 “전공의 부족으로 전문의 업무 부담이 크고 특히 소아응급실 인력 부족이 심각하다. 전문의 3명 이상이 필요한 상태”라며 “부산·울산·경남 병원에 현 사태가 진정될 때까지 소아 호흡기 환자 전원 자제를 요청했다"고 밝혔다.
전남대 어린이병원도 19명이었던 소아청소년과 전담의가 17명이 되는 등 전체 의료진(겸임 포함)이 42명에서 39명으로 줄었다. 당장 추석 연휴에 응급실 정상운영도 어렵다는 전망이 나온다.
전남대 어린이병원은 “10일까지 소아청소년과 공보의 1명이 파견된 상태였지만 11일부터 파견이 종료됐다”며 “추석 연휴 기간 응급실은 정상 진료가 불가능하고 중환자실과 병동도 난항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전남대 어린이병원은 올해 초 전문의 사직으로 신생아분과 전문의가 1명만 근무하고 있어 신생아중환자실도 축소 운영 중이다. 병원은 “인력 부족으로 9월부터 중환자실 중증환자 위주로 진료체계를 개편했다”며 “정상운영을 위해 소아청소년과 응급실 전담 의사 4명이 추가로 필요하다”고 호소했다.
이밖에 전북대 어린이병원도 2월 말 20명이었던 소아청소년과 전문의가 현재 18명으로 줄었고 전공의도 부족해 최소 4명 이상의 인력 충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공보의·군의관 파견으론 한계…대책 시급”
의료진이 감소하지 않은 병원도 의료진의 고충이 컸다. 강원대 어린이병원은 올해 2월 의정갈등이 불거진 후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4명, 전공의 1명이 사직했다.
강원대 어린이병원은 ”소아청소년과 촉탁전문의(계약직 의사)를 채용해 현재 정상 진료를 유지하고 있지만, 전공의 사태로 전문의가 기존 전공의 업무를 담당해 피로도가 상당한 상황"이라며 “추가 이탈 인원 발생 시 병원 운영시간 축소가 불가피하다. 진료 지속을 위해선 소아청소년과 의료진 6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경북대 어린이병원도 “진료 정상운영을 위해 최소 5명의 파견 인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정부는 인력난 해소를 위해 어린이병원 5곳에 13명의 군의관·공보의를 파견했으나 병원들은 “군의관·공보의는 처방 입력, 야간 공휴일 근무를 기피해 소아응급 전공자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백 의원은 “필수의료와 지방 의료 공공성 강화는 국가의 책무”라며 “정부는 의료대란이 더 악화하지 않고 특히 추석 연휴에 어린이병원 응급실 등이 정상운영 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