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경주 월성서 사로국 시기 취락 첫 확인… 짝 맞춘 토기에 '개 제물'도 발굴

입력 : 2024-10-02 13:21:00 수정 : 2024-10-02 13:20:59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국립경주문화유산연구소, 사적 '경주 월성' 발굴조사서 3세기대 취락 양상 확인
사로국 시기의 거주 형태가 월성 내부서 조사된 것은 최초 사례
발굴성과 조명하는 현장설명회(10월7일, 월성 A지구 발굴현장) 및 학술 토론회(10월8일 경주 힐튼호텔) 개최
월성 A지구 발굴 조사 결과, '성벽보다 100년 앞서 대대적 공사'
취락 입구서는 의례 정황, '비슷한 시기에 제물로 개 바친 사례 없어'

경주 월성(月城) 안에서 신라의 모체가 된 사로국(斯盧國) 시대 취락(거주 흔적)이 처음으로 확인되면서 학계의 비상한 관심을 끌고 있다.

월성 A지구 발굴 구간.

국립경주문화유산연구소는 "경주 월성 A지구 서남쪽 일대를 발굴 조사한 결과, 사로국 시기에 해당하는 3세기 전∼중엽의 취락 양상을 확인했다"고 2일 밝혔다.

 

사로국은 초기국가시대 진한(辰韓)의 12국 중 하나다.

 

이번에 사로국 시기의 거주 흔적이 확인된 곳은 월성 서남쪽 가장자리, 월정교 부근이다.

 

조사 결과, 이 일대는 하천에 접해 있는 연약한 지반에 모래층이 쌓여 있었으나 3세기 전∼중엽에 취락을 조성하기 위해 흙을 다지는 작업이 있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연구소는 "벼의 겉껍질, 식물 종자, 조개껍데기 등이 섞인 유기 물질을 공정별로 다르게 사용해서 약 1.5m 높이로 흙을 견고하게 하는 작업을 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2024 월성 발굴 성과 공개회 포스터. 국립경주문화유산연구소 제공

모래땅을 다져 취락, 즉 생활 근거지로 조성하는 건 만만치 않은 일로 여겨진다.

 

연구소 관계자는 "월성의 성벽은 4세기 중·후엽에 쌓은 것으로 보는데, 그보다 100여 년 앞선 시점에 막대한 인력과 물자가 동원되는 작업이 이미 진행된 셈"이라고 말했다.

 

취락 입구에서는 과거 의례를 거행한 것으로 보이는 흔적도 나왔다.

 

나무 기둥을 세워 만든 것으로 보이는 유구는 직경이 6m 정도 되는 원형 구조였으며, 의례를 마친 뒤에 불을 질러 태웠다고 추정된다.

의례 유구에서 확인된 개 희생과 출토 토기. 

그 안에서는 종류별로 2∼3점씩 짝을 맞춘 토기 15점이 출토됐고, 황색 안료가 발린 마직물로 감싼 것으로 보이는 흔적도 확인됐다.

 

특히 연구소는 개로 추정되는 동물 뼈가 발견된 점에 주목하고 있다.

 

연구소 측은 "비슷한 시기에 개를 의례 제물로 바친 정황은 발견된 사례가 없다"며 "어떤 목적에서 개를 희생시켜 의례를 지냈는지 연구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성벽을 쌓은 시기보다 100여 년 앞선 때에 대대적인 공사를 거쳐 사람들이 살았던 것으로 보이는 자취가 나온 만큼 이번 조사 결과는 향후 월성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될 전망이다.

 

연구소는 7일 오후 월성 A지구 발굴 현장에서 설명회를 열 예정이다. 이어 8일에는 경주 힐튼호텔에서 이번 조사 성과를 논의하는 학술 토론회가 열린다.

의례 유구 흔적.

경주 월성은 신라 궁궐이 있었던 도성을 뜻한다.

 

전반적인 형태가 달을 닮았다는 이유로 '월성'이라고 불렀으며, 조선시대에는 '반월성'(半月城)이라 칭하기도 했다. 왕이 계신 성이라 해 '재성'(在城)이라고도 했다.

 

1963년 사적으로 지정됐으며, 서쪽부터 A∼D 지역으로 나눠 조사 중이다.

의례 유구 설명.

연구소는 앞서 서쪽 성벽 발굴 조사 성과를 공개하면서 성벽이 4세기 중엽에 쌓기 시작해 5세기 초반에 이르러 완공된 것으로 확인됐다고 발표한 바 있다.

 

연구소는 앞으로도 경주 월성의 발굴 성과 및 학술적 가치를 국민과 지속적으로 공유해 나갈 수 있는 적극행정을 이어갈 방침이다.


경주=이영균 기자 lyg0203@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박보영 '빠져드는 눈빛'
  • 박보영 '빠져드는 눈빛'
  • 임지연 '러블리 미모'
  • 김민주 '청순미 폭발'
  • 김희애 '여전한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