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정 치료 후에도 또다시 치아 배열이 흐트러지는 경우가 있다.
이렇게 치아교정 치료 이후 관리 소홀 등의 이유로 재교정 치료를 받는 비율은 5% 정도로 알려져 있다.
교정으로 치아를 이동시키게 되면 잇몸뼈가 부위에 따라 흡수 또는 형성되고 치아를 잇몸뼈와 연결해 주는 조직 일부도 와해된다. 교정 치료 직후 잇몸이 치아를 단단히 지지해 줄 수 없기 때문에 정상적인 잇몸 구조라면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작은 힘에도 치아 배열이 흐트러질 수 있는 것이다. 또 치아와 연결된 잇몸의 섬유들이 원래 길이보다 늘어나면서 치아를 원래 위치로 되돌리려고 하는 힘이 작용하면서 섬유들이 적응할 때까지 치아의 위치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치아를 지지해 주는 잇몸조직이 재구성될 때까지 치아의 위치를 잡아줘야 하는 이유다.
서울대치과병원 치과교정과 안정섭 교수는 “특히 성장기 환자의 경우 턱의 성장에 따라 치아 배열이 미세하게 바뀌며 적응해 나가는 과정이 수반된다”며 “이때도 치열이 흐트러지거나 교합 관계가 변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고정을 위해 보통 치료 후 ‘유지장치’를 사용한다. 보통 앞니의 안쪽에 부착하는 ‘고정식 유지장치’와 환자가 탈착할 수 있는 ‘가철식 유지장치’를 많이 사용한다.
고정식 유지장치는 치아에 부착돼 환자가 임의로 제거할 수 없다. 교정 치료를 종료하기 전 또는 직후에 얇은 철사를 앞니 안쪽에 부착하는 것으로, 겉으로는 잘 보이지 않는다. 특히, 교정 치료를 종료한 직후, 앞니 치아 배열은 흐트러지기 쉬워 고정식 유지장치로 치열을 유지한다.
반면 가철식 유지장치는 고정식과 달리 탈착이 가능한 장치다. 교정 치료 종료 후 보통 3개월 정도는 식사나 양치할 때를 제외하고 자는 시간까지 포함해 거의 온종일 사용해야 하다가 상태에 따라 사용 시간을 줄일 수도 있다. 투명 가철식 유지장치도 있지만 장기간 사용하면 착색, 변색이 생기며, 깨지거나 구멍이 나는 등 내구성이 떨어져 수개월에 한 번 다시 맞춰야 하는게 단점이다.
성장기 환자는 잔여 성장기 동안, 성인기 환자는 최소 1년 이상의 유지관리가 필요하다.
유지장치를 사용할 때 구강위생 관리에 소홀하면 장치 주변에 음식물이 남아 치석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특히 아래 앞니 유지장치 주위에 치석이 생기는 경우가 많다. 고정식 유지장치가 부착된 부위는 치실을 일반적인 방법으로 사용하기 어렵고, 잘못 사용해 철사에 무리한 힘을 주게 되면 장치가 변형될 우려가 있다.
안 교수는 “시중에 유지장치가 부착된 상태로도 사용할 수 있는 치실이 판매되고 있어, 치과의사의 안내를 받아 치실을 사용할 것을 권장한다”며 “고정식 유지장치에 발생한 문제는 치아 배열의 변화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주기적으로 치과를 방문해 검진을 받을 필요가 있다”라고 말했다.
반면 가철식 유지장치는 식사시 빼두는 것이 좋다. 장치가 망가질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안 교수는 “장치를 적절히 세척하지 않으면 가철식 유지장치에도 치석이 부착될 수 있다“며 칫솔을 이용해 장치를 주기적으로 닦아주는 것을 권했다.
안 교수는 “지속적인 유지관리를 통해 변화를 지연시켜주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나, 유지장치를 잘 사용했다 하더라도 세월이 지나면서 치아의 배열은 조금씩 자연스럽게 변화한다”라며 “어떤 면에서는 노화의 과정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라고 전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