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해와 함께 민족 융합 사례로
중국 당국이 올해 보급한 대학 교재가 ‘중화민족 공동체’ 의식에 근거, 고구려 역사를 중국의 변방 역사로 서술해 우려가 커지고 있다.
논란이 된 교재는 올해 3월 보급한 ‘중화민족 공동체 개론’(사진)이다. 중국 내 소수민족 관련 정책이나 문제를 관할하는 국가민족사무위원회가 주축이 돼 2021년부터 집필진을 꾸렸으며 지난해 말 최종 발간한 것으로 알려졌다.
개론은 오늘날까지 중화민족 공동체가 형성돼 온 과정을 담았다. 중화민족 공동체는 한족과 소수민족들이 교류·동화를 거쳐 하나로 융합했다고 보는 관점이다. 중국은 최근 중화민족 공동체 이론을 내세워 역사·문화정책을 펴고 있다.
개론은 총 377쪽 분량으로, 고구려·발해를 민족 융합의 사례로 제시하고 있다. 중화민족 공동체의 관점에서 고구려를 ‘변방 정권’으로 치부하고 중국 역사에 귀속시키려는 듯한 표현이 다수 발견된다. 예를 들어 “(당나라 시기) 동북방에는 고구려, 발해 등 변방 정권이 연속해 있었다”며 “그들은 모두 한문·한자를 썼고 역대 중앙(중국) 왕조의 책봉을 받았다”고 서술했다. 또 “고구려 고분 벽화에 선명한 중화문화의 각인이 다수 남아 있다”고 적었다.
앞서 손장훈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은 지난해 4월 재단에서 펴낸 ‘동북아역사 리포트’에서 “중화민족 공동체는 역사 속에 단단히 뿌리내린 위협적인 개념이며 중국의 사상적 무기”라고 지적하며 앞으로의 행보를 주목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