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키 98㎝ 공연 예술가가 재해석한 발레 ‘빈사의 백조’…외로움과 죽음 표현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4-11-30 12:20:00 수정 : 2024-11-30 11:44:45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이탈리아 공연예술가 키아라 베르사니 첫 내한
골형성부전증으로 키 98㎝ 불과…작품 안무·연출·출연 도맡아
대표작 3편, 29일부터 모두예술극장에서 공연

“당신이 나를 해석하는 것이 아닌, 내가 나를 이해하는 방식을 보여줄 것이다. 세상이 바라보는 나의 이미지는 내가 결정하니까.”

 

이탈리아 출신의 공연예술가 키아라 베르사니(40)가 한국을 처음 찾았다. 베르사니는 뼈가 약해 쉽게 골절이 되거나 팔다리와 척추가 점점 휘어지는 ‘골형성부전증’ 장애인이다. 키 98㎝의 작은 몸으로 직접 공연 안무와 연출을 맡고 무대에도 오른다. 2018년 이탈리아 공연 예술계의 권위 있는 상인 ‘프레미오 우부’ 35세 이하 최고 공연자 상을 받고 2020년 베니스 비엔날레 국제현대무용축제에 초청되는 등 국제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탈리아 공연예술가 키아라 베르사니가 28일 서울 서대문구 모두예술극장에서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모두예술극장 제공

국내 첫 장애예술 표준 공연장인 모두예술극장 초청으로 내한한 그는 대표작 3편(젠틀 유니콘·덤불·애니멀)을 한국에 선보인다. 28일 서울 서대문구 모두예술극장에서 기자들과 만난 베르사니는 “장애인이자 여성이며 예술가로서 사회적인 변화를 이끌어내려면 최대한 많은 공간에서 나의 공연을 소개해야 한다고 생각해왔다”고 소감을 밝혔다.

 

베르사니는 ‘정치적 신체’라는 개념에 바탕을 두고 누군가를 봤을 때 떠오르는 이미지, 문화권에서 비롯되는 선입견 등을 작품에 녹이는 것으로 유명하다. ‘장애인·여성·예술가’라는 정체성을 무대 위에서 그대로 보여준다. 관객들이 장애를 ‘비정상’ 또는 ‘이상함’으로 규정하는 생갹에서 벗어나도록 하기 위해서다. 

 

그는 19세에 대학에 진학해 무작정 연극 워크숍(연수회)에 참여한 것을 계기로 예술과 인연을 맺었다. 이후 베니스 비엔날레에서 조직한 대학 프로그램 ‘비엔날레 대학’을 다니면서 예술가로서의 발을 뗐다. 그는 “대학에서 행위예술을 공부하면서 나의 몸이 휠체어가 없어도 된다는 것, 휠체어 없이 자유롭게 몸으로 작업할 수 있다는 것을 배웠다”며 “세상과 어떻게 소통할 수 있는 방법을 늘 찾아왔는데 바로 예술이 그 수단이었다”고 말했다.

베르사니가 대표작 ‘젠틀 유니콘’을 공연하고 있는 모습. 모두예술극장 제공

“우리는 다른 사람을 겉모습이나 각자 속한 문화권에 따라 판단하는데 이는 선입견입니다. 사람을 바라보는 시선은 바뀔 수 있습니다. 저는 장애인이 무엇을 원하고 무엇을 필요로 하는지 세상에 알리는 일을 하는 활동가와 같은 책임감을 느낍니다. 예술가로서 장애를 가진 모든 사람의 집단적 목소리를 대표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어요.”

그는 실제 활동가로서도 활발한 활동을 보여주고 있다. 코로나19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한 기간 조합을 결성해 장애 예술인에 대한 이탈리아 정부의 지원을 촉구했다.

 

한국 공연은 29일부터 12월 7일까지 열린다. ‘젠틀 유니콘’은 ‘독특하고 고유한 이야기를 지닌 신체’를 중심으로 몸의 개념에 대한 사고의 전환을 시도해 온 베르사니의 일종의 선언문 같은 작품이다. ‘덤불’은 흔히 따뜻한 존재로 그려지는 자연(덤불)에 움직일 수 없는 장애인이 놓인 상황을 가정하며, 장애와 자연의 관계를 묻는다. ‘애니멀’은 위대한 걸작으로 꼽히는 미하일 포킨 안무의 솔로 발레 ‘빈사의 백조’를 재해석해 외로움과 죽음을 몸으로 표현한다.

 

베르사니는 세 편의 작품에 직접 출연하고, 국내 관악기 연주자, 무용수, 대학생과 워크숍도 진행한다. “제가 하는 연구의 기초를 그들과 공유하게 될 거예요. 서로 잘 듣고 자기 몸에 주의를 기울이는 게 중요합니다.”

발레 ‘빈사의 백조’를 재해석한 ‘애니멀’ 공연 사진. 모두예술극장 제공

그는 “최대한 많은 공간에서 공연을 소개해야 한다. 그럼으로써 사회적 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며 “우리를 맞이하는 게 준비되지 않은 공간으로도 활동의 폭을 넓힐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강은 선임기자 kelee@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김민주 '순백의 여신'
  • 김민주 '순백의 여신'
  • 한지은 '매력적인 미소'
  • 공효진 '공블리 미소'
  • 이하늬 '아름다운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