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쪽 엔진서 깃털·혈흔 등 발견
조류경고 1분 만에 블랙박스 멈춰
유가족협 “시신 파편 수색 종료”
12·29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당시 엔진에 빨려들어간 조류는 가창오리인 것으로 확인됐다. 가창오리는 겨울철 무안지역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철새다.
국토교통부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사조위)는 사고기 엔진 조사 중 양쪽 엔진에서 깃털과 혈흔을 발견했으며, 국내 전문 기관에 유전자 분석을 의뢰한 결과 가창오리의 깃털과 혈흔으로 파악됐다고 25일 밝혔다.
사조위는 “현재 발견된 시료로는 조류 개체 수나 다른 종류의 조류 포함 여부를 알 수 없으며, 엔진상태 확인 및 추가 시료 채취를 위해 엔진 분해 검사계획을 수립 중”이라고 설명했다.
가창오리는 겨울철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에서 볼 수 있는 철새로, 무안 갯벌과 습지에 주로 서식한다. 무안국제공항에서도 자주 볼 수 있어, 공항의 조류탐지기능이 제대로 이뤄졌다면 사고 발생을 막을 수 있었을 것이라는 주장에 힘이 실린다. 현재 무안공항에는 조류탐지에 필요한 조류감지 장비, 조류탐지 전용 레이더, 열화상 카메라 등이 없다. 참사 당시에도 관제사가 눈으로 새 떼를 확인하고 조종사에게 경고했다.
사조위는 이날 충돌 직전 상황을 초 단위로 공개했다. 제주항공기는 지난해 12월 29일 오전 8시54분43초 무안관제탑과 착륙접근을 위한 최초 교신을 했고, 관제탑은 01활주로로 착륙허가를 내렸다. 관제탑은 오전 8시57분50초가 돼서야 조종사에게 조류활동 주의정보를 전달했다. 조종사들은 21초 뒤인 오전 8시58분11초에 “항공기 아래 방향에 새들이 있다”는 대화를 나눴다. 39초 뒤인 오전 8시58분50초 블랙박스 기록이 중단됐다. 6초 뒤 항공기 복행을 시도하던 조종사는 관제탑에 조류충돌로 인한 메이데이(비상선언)를 실시했다.
제주항공기 참사 유가족협의회는 사고 현장 주변에서 시신 파편을 찾기 위한 수색이 종료됐다고 26일 전했다. 유가족들은 희생자들에 대한 49재가 끝나는 다음달 15일 공항을 떠나기로 했다.
희생자들 유류품 등도 다음달 15일 이후 전남 담양의 모처로 옮겨 보관하며 이후 추모사업이 진행될 경우 추모 공간에 안치하기로 결정했다. 유가족들은 설날인 29일 오전 10시 사고 현장에서 직접 만든 음식으로 차례를 지낼 예정이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