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에 “우크라, 러 될 수도 있다”
‘병합’ 위협하며 자원개발권 요구
유럽엔 미국산 무기 추가구매 압박
‘종전 논의’ 美 특사, 내주 키이우行
푸틴·젤렌스키 협상 무대 마련할 듯
美 고위급, 우크라서 협상 물밑 조율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인사들이 우크라이나 측과 잇달아 접촉하는 등 종전 협상에 속도가 붙고 있다. 세계 최대 다자 안보 회의인 독일 뮌헨안보회의(14∼16일)와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3주년(24일) 등을 앞두고 ‘트럼프식 종전 구상안’이 윤곽을 드러내면서 종전 논의가 중요한 외교적 전환점을 맞을 전망이다.
10일(현지시간) AFP통신 등에 따르면 미국의 우크라이나·러시아 특사인 키스 켈로그는 20일 ‘전쟁을 중단시킬 밑그림을 그릴 임무’를 띠고 우크라이나 키이우를 방문할 예정이다.
![](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02/11/20250211516664.jpg)
켈로그 특사가 우크라이나를 찾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키이우 방문을 통해 트럼프 대통령이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을 구체화함으로써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나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직접 협상할 무대를 마련하겠다는 계획으로 해석된다.
일부 미 행정부 인사들은 켈로그 특사보다 먼저 우크라이나를 방문해 종전 협상을 위한 사전 작업에 나설 전망이다. 이날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번 주 뮌헨안보회의가 열리기 전에 트럼프 팀의 몇몇 중요한 인사들이 우크라이나에 올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누가 방문할지는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다. 뮌헨 안보회의에 참석할 예정인 젤렌스키 대통령은 회의 첫날인 14일 J D 밴스 미 부통령과 만날 계획이다.
미국과 우크라이나의 고위급 회담이 연달아 성사되면서 종전 논의가 분수령을 맞게 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철저하게 거래적 관계를 추구하는 트럼프 당선인은 이 과정에서 우크라이나와 동맹국들에도 상당한 양보를 요구할 것으로 관측된다. ‘트럼프식 종전안’으로는 미국이 러시아에는 현재 점령 중인 우크라이나 영토를 계속 보유하는 것을 인정해 주고 우크라이나에는 안전 보장을 제공하는 휴전안이 거론된다. 1953년 한국전쟁 정전협정을 벤치마킹한 이른바 ‘코리아 모델’처럼, 현재 형성돼있는 전선을 기준으로 양측이 군사적 행동을 멈추는 휴전에 합의하자는 내용이다.
![](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02/11/20250211516663.jpg)
아울러 트럼프 행정부는 큰돈을 들이지 않고 우크라이나에 대한 군사 지원을 지속하기 위한 방안으로 유럽 동맹국에 미국산 무기 구매를 비롯한 역할 확대를 압박하는 한편 우크라이나에는 희토류, 천연자원, 석유·가스 등 우크라이나 광물 개발 문호를 열 것을 요구하고 나섰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미 당국자들은 뮌헨안보회의에서 우크라이나 지원을 위한 미국산 무기 추가 구매를 압박할 계획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대선 과정에서 조 바이든 행정부의 우크라이나 군사지원을 비난하면서 당선되면 지원을 끊겠다고 공언했으나 취임 후 이어진 내부 논의에서 참모진 일부가 지원을 계속할 필요성을 거론했다고 통신은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군사지원 지속과 연계해 우크라이나에 매장된 희토류에도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폭스뉴스와 인터뷰에서 “나는 우크라이나에 5000억달러(약 726조원) 가치의 희토류를 원한다고 이야기했고, 그들은 기본적으로 그에 동의한다고 답했다”고 밝혔다. 그는 미국이 우크라이나에 투입한 돈이 대략 3500억달러로 유럽이 지출한 1000억달러의 두 배가 넘는다고 주장하며 “우리는 바보가 아니다. 뭔가 얻어내지 않고 이 돈을 계속 쓸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우크라이나의 러시아 병합 가능성까지 언급하며 자원 개발 등에서 미국에 이득을 줄 것을 요구했다. 그는 “우크라이나는 희토류와 석유, 가스 등 매우 가치 있는 땅을 가지고 있고, 수천억 달러를 쓴 우리는 그 돈을 안전하게 지키기를 원한다”며 “그들은 협상할 수도, 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들은 언젠가 러시아가 될 수도, 되지 않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