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술의 성지였다고 알려진 종로 탑골공원 주변 식당들. 이제는 잔술 파는 곳이 거의 사라졌다. 어찌어찌 찾아 들어간 식당 메뉴판에 ‘잔술 2000원’이라고 적혀 있었다.



“이 집에서 파는 잔술은 소주 반 병, 막걸리 반 병을 잔술이라고 해. 나는 막걸리를 마시는데 가끔 소주 잔술을 먹기도 하지.” 이 할아버지는 잔술에 대해 설명하기 시작했다. “한잔에 주는 술이 잔술이 아니야. 맥주 유리잔 같은 데 가득 주니 반 병쯤 되지. 그게 잔술이야. 진짜 잔술은 간에 기별도 안 되지~.”
이때 옆자리에 있던 아저씨도 한마디 거든다. “한 병 마시기엔 좀 많고 하니 잔술로 먹을 때도 있지. 다른 식당도 잔술로 달라면 줘~.”



잔술. 한 잔의 술, 낱잔으로 파는 술이다. 盞(잔)술, 한자와 한글이 합쳐진 말이다. 지난해 5월 말부터 시행된 ‘주류 면허 등에 관한 법률 시행안 개정안’은 ‘주류를 술잔 등 빈 용기에 나누어 담아 판매하는 경우’를 주류 판매업 면허 취소의 예외 사유로 명시했다. 잔술의 합법화 후 잔술의 현주소는 어떨까. 힘들게 살던 시절, 퇴근길 잠시 몸을 데웠던 잔술의 추억이 사라지고 있다. 한마디로 잔술을 파는 곳들이 점점 사라지고 있다. 어렵게 파는 곳을 발품 팔아 찾아봤다.
자리를 바꿔서 경동시장. 수많은 시민들이 이용하는 서울의 대표적인 재래시장이다. 예전엔 이곳에도 잔술을 파는 곳이 많았지만 이제는 거의 사라졌다. 영심이네 분식. 방송에도 나왔다는 광고가 가게 앞을 장식하고 있다. 평일 늦은 오후, 가게 안엔 벌써 손님들이 테이블을 차지하고 앉아 막걸리를 한잔씩 하고 있었다. 3명, 2명, 1명의 손님들이 각각 한 테이블을 차지하고 앉아 음식과 막걸리를 먹고 있다.


이 가게 말고 다른 가게에서도 잔술을 파는 곳이 있는지 물어보자, 아저씨 한 분이 “예전엔 여기서 조금 나가 저쪽으로 가면 잔술 파는 데가 있었는데… 아! 맞다. 지금은 없어졌지. 여기밖에 없네. 잘 안 먹지 잔술로는…”라고 대답한다.
주인 아주머니의 이름을 딴 ‘영심이네’ 가게 사장님은 “가끔 잔술 드시러 오시는 분들이 있어요. 젊은 사람들은 호기심에 오기도 하고. 여긴 주말에 잔술이 좀 나가요”라며 “한 3년 전부터 막걸리 한 잔, 1500원으로 올려 지금껏 그대로지요”라고 말한다.


동묘 벼룩시장, 평일에도 사람들로 북적인다. 구제 패션 가게가 많아 젊은이들도 자주 찾는 상설 벼룩시장엔 없는 게 없을 정도로 별의별 게 다 있다. 수많은 사람들이 오가는 시장 한복판엔 잔술로 막걸리를 팔고 있다. 아직은 이른 오후라 식혜를 찾은 사람들만 있다. 주인장은 “잔술도 꽤 나가지요. 정확하게 몇 잔 나가는지는 세 보진 않았지만 꽤 나갑니다”라고 말한다. 벼룩시장 한쪽엔 또 다른 잔술집이 있다. 튀김류를 전문으로 파는 가게. 주인 아주머니는 “아유~ 잔술은 무슨~ 요즘 누가 찾는다고. 하루에 10잔도 안 나가. 못사는 사림이나 먹지”라고 얘기한다.
있던 것들이 조금씩 사라지고 있다. 한 병을 먹기에는 너무 많고 호주머니 사정을 위해 생겨났던 잔술 문화가 이젠 어디에서도 찾기 힘들어지고 있다. 아마도 어디에선가 서로의 필요에 의해 생겨났던 잔술 문화가 지금도 왕성하게 이어지고 있을지도….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