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들의 급전 창구인 카드론 금리가 연 15%까지 오르며 2022년 말 레고랜드 사태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가계대출 관리 기조 속에 은행 문턱이 높아지면서 중·저신용자들이 카드사로 몰린 영향으로, 기준금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카드론 금리는 당분간 높은 수준을 이어갈 전망이다.
20일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9개 카드사(롯데·BC·삼성·신한·우리·하나·현대·KB국민·NH농협카드)의 3월 카드론 금리 평균은 연 14.83%로, 지난 2월 말(14.64%) 대비 약 0.19%포인트 올랐다. 이는 작년 3월(14.46%) 대비해서는 0.37%포인트 오른 것으로, 레고랜드 사태 이후인 2022년 12월(14.84%)에 육박하는 수치다.

카드론은 신용카드 회사가 제공하는 고금리 대출 서비스로, 절차가 간편하고 문턱이 낮아 서민들의 급전 창구로 불린다. 지난해 10월과 11월 2회 연속 기준금리가 인하됐지만 카드론 금리는 오르면서 취약차주의 이자 부담이 높아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실제로 지난해 3월과 올해 3월 900점 초과 고신용자의 카드론 평균 금리는 11.89%로 동일했으나, 700점 이하 저신용자의 평균 금리는 같은 기간 17.34%에서 17.66%로 0.32%포인트 올랐다. 특히 카드론 이용자의 절반 이상은 금융사 3곳 이상에서 중복으로 대출받은 다중 채무자이고, 카드론 문턱이 높아질 경우 저신용자가 제도권 밖의 대출로 밀려날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카드론 금리는 당분간 고공행진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금융당국이 가계대출 증가세 둔화를 위해 카드사에도 올해 카드론 증가율을 3∼5% 내외에서 관리하도록 하면서 당장 카드론 금리를 낮추기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한편 지난달 카드론 잔액은 42조3720억원으로 분기 말 부실채권 상각과 정부의 가계대출 관리방안 시행 영향으로 역대 최다였던 전월 말(42조9888억원) 대비 약 6000억원 줄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