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中에 공급망 넘어갔다? 2024년 신규물량 79% 국산 [심층기획-해상풍력 2.0 시대]

관련이슈 세계뉴스룸

입력 : 2025-07-17 06:00:00 수정 : 2025-07-16 20:38:32
박유빈 기자

인쇄 메일 url 공유 - +

풍력발전산업 오해와 진실

국내 누적설비 2268㎿ 중 국산 절반 차지
케이블·타워 업체들 동남아·대만 수출도

‘비싼 전기요금’ 지적도 절대불변은 아냐
절차 비용 등 줄여 경제성 개선 노력해야

6·3 대선을 앞두고 지난 5월18일 개최된 대선 후보자 TV토론에서 개혁신당 이준석 당시 후보는 “풍력발전의 66∼100%가 외국, 특히 중국에 넘어가 있다”고 발언했다. 같은 토론회 중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가 “원자력발전이 풍력발전과 비교해 비용이 8분의 1밖에 안 든다”며 이준석 의원에게 의견을 묻자 그는 “서남해안 풍력발전은 킬로와트(㎾)당 균등화발전비용(LCOE)이 300원 가까이 가지만 원전은 50∼60원”이라고 했다. 탈석탄·탈원전에 재생에너지만 외치면 ‘전기요금 폭탄’을 맞을 것이라고도 주장했다.

사진=로이터연합뉴스

16일 한국풍력산업협회에 따르면 지난해까지 누적 설치량 2268㎿ 중 국산 발전기는 1078㎿(439기·47.5%)로 절반에 못 미친다. 다만 지난해 신규 물량만 보면 전체 보급량의 79.3%에 국산 터빈을 이용했다. 터빈을 제외한 하부구조물, 타워, 해저케이블은 국내는 물론 동남아시아와 대만 등에 다량을 수출하고 있다. 현재까지 설치된 터빈 제조사 순위를 봐도 1∼5위에 유니슨과 두산에너빌리티를 포함해 유럽 업체들이 올라 있어 ‘100% 가까이 외산, 특히 중국산에 넘어갔다’는 주장은 근거를 찾기 어렵다.

‘풍력발전 전기는 비싸다’는 지적도 절대불변은 아니다. LCOE란 발전기 하나를 지어 수명을 다할 때까지 전력을 생산하는 데 소요된 총 비용을 그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량으로 나눈 값이다. 생산된 전력이 많을수록, 발전기 건설에 투입된 비용이 적을수록 LCOE는 떨어진다. 지난해 12월31일 에너지경제연구원이 발표한 국내 해상풍력 LCOE는 ㎾h당 271∼300원으로 실제로 높은 편이다. 에너지경제연구원은 이 중 설비비용이 167∼196원(62∼65%)을 차지한다고 분석했다. 같은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기준 글로벌 평균 LCOE는 ㎾h당 0.09달러로 125원을 밑도는 수준이다.

우리나라는 아직 입지를 정한 뒤 해상풍력 인허가를 받고 주민 수용성을 확보하는 과정이 복잡하고 오래 걸려 비용 인상요인이 많다. 국산 기자재가 규모의 경제를 통한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지 못한 점도 설비비용 하락을 막는 요인이다. 이 의원이 비판한 높은 해상풍력 LCOE는 정부와 함께 정치권이 노력해야 할 우리나라 과제인 셈이다. 윤순진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는 “세계시장은 빠르게 변하고 수출시장도 그렇다”며 “정치권은 옳다고 생각하는 정보만 확신하는 데에서 벗어나 유동적인 시장 정보에 반응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성환 환경부 장관 후보자는 전날 인사청문회에서 “우리나라 해상풍력 잠재력은 매우 크나 우리 공기업이 그것을 따라가지 못해 많은 해외 기업이 진출하려는 상황”이라며 “해외 기업의 앞선 기술력을 국내 기업이 내재화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박유빈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차주영 '완벽한 비율'
  • 차주영 '완벽한 비율'
  • 샤오팅 '완벽한 미모'
  • 이성경 '심쿵'
  • 전지현 '매력적인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