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영화 ‘케이팝 데몬 헌터스’가 역대 넷플릭스에서 가장 많은 사람이 시청한 오리지널 애니메이션 영화로 등극했다. 영화가 뜨면서 주인공이 김밥 한 줄을 통째로 먹는 장면이 외국인들 사이에서 큰 화제를 모았다. 앞서 지난 3월 미국의 유력지 워싱턴포스트(WP)가 ‘한국의 김밥은 어떻게 위안을 주는 음식에서 세계적 돌풍을 일으키는 것이 되었나’라는 제목의 기고를 실었을 정도다. 농림축산식품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냉동김밥과 즉석밥 같은 쌀 가공식품 수출액은 전년 대비 38.4% 증가한 4400억원으로 집계됐다.
한국을 찾는 외국인 관광객들의 여행 방식이 변화하고 있다. 일회성이 아닌, 서울 등에서 한달살이를 하며 K라이프를 체험하는 ‘일상 체류형’으로. 그 중심에 의료와 헤어, 뷰티 등이 자리한다. 서울 한달살이를 가능하게 만든 요인 중에는 가성비 좋은 숙박시설도 있다. 지난해 12월 개장한 ‘호텔 더 보타닉 세운 명동’. 현대와 과거가 공존하는 재개발 지역에 총 756실 규모로 지어졌다. 무엇보다 글로벌 MZ세대를 겨냥한 트렌디한 설계로 여행지가 아니라 내 집에 머무는 편안함을 제공, 서울 도심 핫플레이스로 부상했다.
최근 전 세계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코리아 글로우 업’(Korea glow up) 챌린지가 선풍적인 인기다. 글로우 업은 ‘glow’(빛나다)와 ‘grow up’(성장하다)을 합친 신조어로, 단순한 성장 이상의 긍정적인 외모 변화 내지는 자기관리 성과를 뜻한다. 여기에 Korea가 붙어 ‘한국에 다녀왔더니 외모가 예뻐졌다’는 의미가 담겼다. 이 챌린지는 외국인들이 한국 방문 전후의 외모 변화를 쇼트폼(짧은 영상 콘텐츠) 플랫폼에 올리며 폭발적인 조회 수를 기록하고 있다.
K푸드와 K뷰티 수출액은 역대 최고 기록을 갈아치웠다. 문화 콘텐츠로만 소비되던 ‘K웨이브’(한류)의 진화다. 향후 많은 외국인들의 한국 방문 기대감을 키우고 있다. 이쯤 되면 K웨이브를 국가 성장동력으로 고민할 법하다. 다만 지나치게 외모로 평가받는 한국 문화에 대한 지적이 나오는 것은 걱정스럽다. 이미 젊은 세대에서 외모지상주의가 고착화하는 양상을 보면 기우는 아닐 것이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