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인천국제공항이 위치한 영종도와 내륙을 잇는 세 번째 해상교량입니다. 여전히 ‘제3연륙교(連陸橋)’라고 불립니다. 공식적인 이름이 없어서죠. 또 통행료를 놓고선 지자체가 정부와 이견으로 옥신각신 다투고 있어요.”
올해 12월 준공이 예정된 ‘제3연륙교 수난사’가 이어지고 있다. 길이 4.68㎞, 폭 30m, 왕복 6차로 규모로 총사업비 약 7700억원이 투입됐다. 서울 여의도에서 인천공항까지 30여분이면 닿고, 세계 최고 높이인 180m 주탑 전망대는 기네스북 등재를 노리는 이미 지역의 자랑거리다.

하지만 세상의 빛을 보기 전부터 잡음이 계속되고 있다. 다리 명칭과 통행료 논란 등 주요 현안이 정리되지 못한 탓이다. 먼저 명칭의 경우 바다 위 다리로 직접 연결되는 중구와 서구가 서로 “내 지역 이름을 달겠다”면서 한 치 양보도 없이 대립하고 있다. 앞서 인천시 지명위원회에서는 지난 7월28일 인천경제청이 시민 대상의 중립 공모를 거쳐 올린 안 가운데 하나인 ‘청라하늘대교’라고 의결했지만 두 자치구가 차례로 불복 의사를 밝혔다.
중구는 “인천공항을 향하는 ‘하늘길’의 상징성을 나타낼 수 있는 ‘영종하늘대교’가 인천의 위상과 가치를 높일 것”이라고 주장했다. 영종도 주민들은 대규모 궐기대회를 열기도 했다. 그러자 서구에서 “내외국인이 사용하므로 명확성·상징성에 더해 이용자 편의성 등 다방면을 고려할 때 당연히 ‘청라대교’가 돼야 한다”고 발표하며 맞섰다.
인천시는 지난 17일 지명위원회를 다시 열어 재심의에 나설 예정이었지만, 급작스럽게 일정을 취소시켰다. 두 자치구 간 입장 차가 첨예하면서 내부적으로 추가적인 숙려·논의기간을 갖기로 했다. 다만 재심의에서도 합의점을 찾기 힘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이후 국가지명위원회로 공이 넘어가면 이 교량은 제대로 된 명칭도 없이 문을 열 처지에 놓인다. 지난해 국가지명위가 고덕토평대교를 결정할 때 4개월가량이 걸렸기 때문이다.
통행료를 둘러싼 진통도 거세다. 소형 승용차 기준 2000원 부과와 함께 인천시민에게 단계적 무료화를 적용하기로 확정했다. 인근에 기존 민자로 지어진 영종대교·인천대교 운영사들에게 지급해야 할 손실보전금 규모를 두고 인천시와 국토교통부가 이견을 전혀 좁히지 못한 게 당면과제다.
과거 정부는 두 교량의 건설 당시에 다른 노선이 생기면 수입 감소분을 메워주기로 협약했다. 바로 ‘경쟁방지조항’이 그것이다. 그리고 인천시는 제3연륙교를 짓는 조건으로 2020년 국토부와 이번 손실보상 지급에 별도 합의했다.
인천시는 현행 통행료 수준에서 2039년까지 약 3000억원이 필요한 것으로 추산했다. 반면 국토교통부 측은 인하되기 전인 당초(정부 보조금 별도)를 기준으로 책정해야 한다고 선을 그었다. 이렇게 따지면 보상 비용이 최대 3배 차이가 난다. 양측의 입장이 확연하게 엇갈리는 만큼 향후 소송전으로 번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게 전문가들 판단이다.
개통을 목전에 두고도 가시밭길에 놓인 제3연륙교의 심경을 그려본다. “제게 얽힌 문제들을 제발 누구라도 속 시원하게 풀어주세요.”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