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6일 화재가 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배터리 이설 작업에서 작업자들이 배터리 방전 작업을 충분히 안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 작업 당시 메인 전원은 껐으나 부속 전원인 리튬이온 배터리팩이 장착된 랙(선반) 차단 여부는 확인하지 않았다는 진술이 나왔다.

대전경찰청 국정자원 화재 전담수사팀은 업무상 실화 혐의로 배터리 이전 업체 관계자 1명을 추가 입건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화재와 관련해 입건된 인원은 4명에서 5명으로 늘었다. 경찰은 명절 연휴 기간에도 관계자들을 참고인으로 불러 조사했다. 전날까지 모두 26명이 조사받았다.
김재춘 대전청 강력계장은 “작업 당시 주 전원(메인 차단기)은 차단했지만, 부속 전원(랙 차단기)은 차단하지 않았다”는 공사 관계자 진술을 확보하고 정확한 차단 여부 등을 확인하기 위해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감정 의뢰한 상태다.
배터리 분리 작업 가이드라인이 지켜지지 않은 점도 확인됐다.
경찰이 확보한 로그 기록을 보면 최초 발화한 것으로 추정되는 배터리 충전율은 90%로 조사됐는데, 경찰은 보정률을 감안하면 실제 충전율은 80% 수준이라는 전문가 진술도 확보했다.
배터리 충전 용량 초과는 이번 화재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고 있다. 배터리 업계의 가이드라인을 보면 무정전 전원장치(UPS)용 리튬 배터리를 분리할 때에는 충전 용량을 30% 이하로 낮춰 작업하도록 하고 있다. 업계에선 배터리 충전율을 30% 이하로 낮추기 위해 2~4시간 정도 방전 작업을 거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국정자원 작업자들은 주 전원을 내린 지 30분만에 작업을 시작한 것으로 파악됐다.
경찰은 충분히 방전을 하지 않아 불안정한 상태인 배터리에서 불이 났을 가능성을 수사하고 있다.
김 계장은 “주 전원 차단 이후 부속 전원을 끄지 않았다는 진술이 나온 만큼 관계자 조사 및 정밀감정에 나서는 한편 현장에서 회수한 배터리 분해검사, 동일 기종 배터리 재현실험 등 다각도로 화재 원인을 수사하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달 26일 오후 8시 16분쯤 대전 국정자원 본원 5층 7-1 전산실에서 무정전 전원장치(UPS) 리튬이온배터리를 서버와 분리해 지하로 이전하기 위한 배터리 케이블 분리 작업 도중 화재가 발생했다. 이 불로 서버가 전소돼 행정정보시스템 등 정부 전산시스템 709개가 마비되거나 장애를 겪었다. 이날 낮 12시 기준 217개 서비스가 정상화됐으며 시스템 복구율은 30.6%를 보이고 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