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대전 본원 화재로 중단된 정부 전산시스템 복구가 3주 차에 접어들었지만, 여전히 30%대에 머물고 있다.
화재 피해 전산실과 연계된 시스템이 많아 전체 복구 속도가 더디다는 분석이다.
13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에 따르면 전체 709개 시스템 중 이날 오후 3시 기준 264개(37.2%)가 복구됐다.

이날 추가로 복구된 시스템은 문화체육관광부 시군구행정·내부 업무포털 지원·코리아넷 집배신 시스템, 고용노동부 배우리시스템이다.
시스템 등급 별로는 1등급 40개 중 30개(75.0%), 2등급 시스템 68개 중 35개(51.5%), 3등급 261개 중 115개(44.1%), 4등급 340개 중 84개(24.7%)가 복구됐다. 다만 핵심인 1·2등급 시스템 중 전날 오후 9시 이후 추가로 복구된 시스템이 없다.
1등급 시스템 중에서는 국가보훈부 통합보훈, 국민권익위원회 국민신문고,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등 3개와 행안부 7개 서비스(공공데이터포털·국민비서 홈페이지·국민비서 알림서비스·안전디딤돌·재난관리업무포털 통합상황관리·문서24·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서비스) 등 모두 10개가 아직 복구되지 않았다.
이재용 국가정보자원관리원장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독립된 전산실 가운데 복구가 가능한 시스템은 대부분 완료됐으며, 현재 남아 있는 것은 5층 7·7-1·8전산실과 연계된 시스템들"이라고 밝혔다.
이어 "8전산실은 전기 공급과 환경이 갖춰져 해당 구역을 중심으로 복구 작업이 진행 중"이라며 "전날 오후 9시 이후 복구된 시스템 수에는 큰 변화가 없지만, 앞으로는 조금씩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주말 동안 기존 700여 명의 복구 인력 외에 제조사 인원 80여 명을 추가 투입하는 등 복구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중대본에 따르면 국정자원 대전 본원 1∼6전산실에 위치한 행정 정보시스템 중 5층 화재와 무관한 시스템은 지난 5일 복구가 완료됐다.
8전산실의 경우 분진제거와 전원공사 작업이 지난 11일에 완료돼 전기 공급이 재개됐다.
대전 본원은 2층부터 5층까지 총 9개 전산실로 구성돼 있으며, 이 중 5층에는 7·7-1·8 전산실이 있다.
실제 화재는 7-1전산실에서 발생했지만, 인접한 7·8 전산실도 분진과 연기 피해 등을 봤다.
김민재 중대본 제1차장(행정안전부 차관)은 "(8전산실은) 다수 시스템이 7전산실 장비를 활용해 즉시 복구는 어려운 상황"이라며 "7전산실 장비에 저장된 데이터 등을 우선 복구한 후 시스템도 순차적으로 복구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5층 7·7-1전산실과 관련된 미복구 시스템은 백업 데이터와 기존 시스템 등을 활용해 복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특히 7·7-1전산실의 시스템은 장비 수급 상황 등을 고려해 대구센터로 이전하거나 대전센터 내 다른 전산실로 옮기는 방식으로 복구할 예정이다.
데이터 복구 상황에 따라 전소 시스템 이전·구축 시점도 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 원장은 "데이터 복구 과정은 원래 쓰던 장비를 복구할 수 있으면 빠를 수 있고, 복구하지 못하면 백업한 데이터를 이용해 복구해야 해 시간이 좀 더 걸릴 수 있다"며 "장비 분진 제거, 테스트, 문제 있는 부품을 고쳐가면서 복구하고 있기 때문에 상황은 가변적일 수 있다"고 말했다.
김 차장은 "협의 중에 늘어날 가능성은 있지만 현재 기준 대구센터로 이전할 대상 20개를 선정했다"며 "일부 시스템은 민간 클라우드사, 소관부처와 협의를 완료해 이전을 시작했다"고 말했다. 민간 클라우드 협력사는 NHN, KT클라우드, 삼성SDS 등 3곳이다.
이어 "대구센터로 이전하지 않는 시스템의 경우, 대전센터 내 타 전산실 이전을 위한 작업으로 5전산실과 6전산실에 신규 장비 설치를 완료하고 서비스별로 순차적으로 이전하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연합>연합>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