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신문고 등 1등급 9개 미복구
시스템 정상화 4주보다 더 소요
정부가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대전 본원 화재와 관련 없는 시스템 복구를 끝내고 나머지 복구를 위한 구체적 계획을 마련해 실행에 들어갔다. 당초 4주가량으로 잡았던 시스템 정상화엔 더 많은 시일이 소요될 전망이다.
행정안전부 차관인 김민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차장은 13일 정부서울청사 브리핑에서 “1∼6전산실 시스템 중 5층 화재와 무관한 시스템은 지난 5일 복구를 완료했다”며 “5층의 8전산실은 전기 공급이 재개됐고, 7전산실 및 7-1전산실 관련 시스템 복구를 진행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8전산실 시스템은 7전산실 장비를 활용한 경우가 많아 7전산실 데이터 복구 작업을 거쳐 복구 절차를 순차적으로 밟게 된다. 화재가 났던 7-1전산실과 그 옆의 7전산실 시스템의 경우엔 다른 전산실 시스템과 연계성이 높은 것은 대전 본원에 남기고, 새로 구축해야 하는 건 국정자원 대구 센터로 이전하기로 정리됐다.
김 차관은 “대구 센터 내 민관 협력형 클라우드에 입주한 NHN, KT, 삼성SDS와 협력하고 있다”며 “이전 대상으로 20개를 우선 선정해 일부는 이들 3개사, 소관 부처와 협의를 완료해 이전을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이재용 국정자원 원장은 “원래 쓰던 장비를 복구하면 데이터 복구가 빠를 수 있고, 복구를 못 하면 백업 데이터를 이용해 데이터 복구를 해야 하는데 이 경우엔 시간이 좀 더 걸릴 수 있다”고 부연했다.
이날 오후 6시 기준 정부 업무시스템 709개 중 273개가 복구돼 복구율은 38.5%를 기록했다. 중요도가 가장 높은 1등급 40개 시스템 중에선 행안부 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 서비스가 추가로 복구돼 31개가 정상 가동되고 있다. 통합보훈과 국민신문고, 국가법령정보센터 등 1등급 9개 시스템은 아직 복구되지 않았다.
윤호중 중대본부장(행안부 장관)은 이날 중대본 회의에서 “복구에 속도를 내야 할 때”라며 “정부는 신속하고 성공적인 복구를 위해 ‘안전·보안·신뢰’ 3대 원칙 아래 복구를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경찰은 경찰 내 주요 시스템 개선 작업에 착수했다. 유재성 경찰청장 직무대행은 이날 정례간담회에서 “112, 형사사법포털(KICS), 교통민원24(TCS) 등이 주요 시스템”이라며 “112는 실시간으로 재해 복구(DR·Disaster Recovery) 시스템이 갖춰져 있어 큰 문제가 없지만 KICS와 TCS는 갖춰 나가야 할 상황”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