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의 한 기초지자체가 민간 주도 불꽃축제의 현장 관리에 직원들을 대거 투입하기로 했다가 노조가 반발하자 동원 인력을 대폭 축소하기로 했다.
14일 울산 북구청과 전국공무원노조 울산북구지부에 따르면 오는 16일부터 19일까지 열리는 '2025 울산공업축제'의 마지막 날 오후 7시 북구 강동몽돌해변에서 '2025 울산불꽃축제'가 진행된다.

불꽃축제는 울산시가 주최하는 울산공업축제와는 별도로 민간 업체가 주최·주관하는 행사지만, 공업축제 폐막식과 연계해 열린다는 이유로 울산시가 12억원을 지원한다.
북구청이 수립한 행정지원계획에는 본청과 북구보건소, 행사지역 행정복지센터 직원 525명 가운데 316명을 축제현장 안전·교통 분야 지원인력으로 배정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여기에 노점상 단속, 위생관리 등 축제 유관부서가 별도로 배치하는 인원 190명을 포함하면 모두 506명이 축제에 직간접적으로 투입된다.
각 부서에서 1∼2명을 제외한 전원이 주말 저녁 축제에 동원된다는 계획이 알려지자 내부 익명게시판에는 직원들이 "너무 과한 것 아니냐", "공노비가 따로 없다"는 내용의 댓글을 달며 불만을 표출하기도 했다.
북구청 관계자는 "민간 주도 축제이긴 하지만 지역에서 이뤄지는 행사인 데다 5만여명의 대규모 인원이 운집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조치였다"고 설명했다.
노조는 지난 10일 성명을 통해 "참가자 안전을 위한 안전요원을 배치할 책임은 행사 주관사에 있다"며 "공무원 본연의 업무와 무관한 지역행사 강제동원을 중단하고 관행적 차출문화를 개선하라"고 요구했다.
그러자 북구청은 안전·교통 지원인력 투입 규모를 200여명으로 대폭 줄이기로 했다.
앞서 울산 남구청은 9월 '울산고래축제'에 참석하는 주요 내빈을 위한 '일대일 의전' 업무에 직원 300여명을 투입하려다 논란이 일자 취소하기도 했다.
김재현 공무원노조 북구지부장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지역 축제가 열리면 이른바 '싼값'에 투입할 수 있는 공무원을 동원해 현장을 채우려는 문화가 공직사회에 남아있는 것 같다"며 "다음날 출근해야 하는 공무원들을 무작정 투입하기보다는 안전관리 예산을 투입해 전문 인력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연합>연합>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