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英·美 생산 확대 ‘물량전’… 독일은 인프라 구축에 방점 [심층기획]

관련이슈 세계뉴스룸

입력 : 2025-10-20 06:00:00 수정 : 2025-10-19 18:55:48
이정한 기자

인쇄 메일 url 공유 - +

해외 수소경제 정책은

美, 청정수소 생산단가 2029년 2弗로↓
英·獨·日도 대규모 수전해 설비 구상

친환경 에너지 확대 정책을 펼치는 유럽을 중심으로 해외 주요 나라가 수소 경제 추진을 위한 중장기적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수소 생산 확대에 초점을 맞춘 미국과 영국은 생산과 유통 정책을 강화하고, 수소 활용을 확대하는 데 중점을 둔 국가들은 소비 촉진을 지원하고 있다.

19일 산업통상부와 산업연구원 자료를 보면 미국은 초당적 인프라 기반 시설법과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따라 수소 경제 활성화를 목표로 한다. 2030년까지 청정수소 약 1000만t을 생산하기로 했다. 기술 개발을 통해 2020년 기준 ㎏당 5달러 수준인 그린수소 생산단가를 2029년까지 2달러로, 2035년에는 1달러까지 낮출 계획이다. 앞선 정책 구상에선 올해까지 도시가스 배관망에 수소를 혼입하는 기술을 실증·평가하는 내용이 담겼고, 2029년엔 대규모 수소 운송이 가능토록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지역 청정수소 허브 구축도 추진해 수소 활용을 지원한다.

영국은 2023년 수소 경제 구현을 위한 전략별 추진안을 공개했다. 2030년까지 저탄소 수소 설비 10GW(기가와트), 수전해 설비 5GW를 구축할 방침이다. 수전해는 물을 전기 분해해 수소로 만드는 대표적인 그린수소 생산 방식이다. 이후에는 바이오매스와 원자력 등을 이용해 수소를 생산한다. 2027년까지 소규모 파이프라인 클러스터를 구축해 2030년엔 대규모 수송 네트워크를 마련할 계획이다. 철도나 일부 항공 등 수송부문에서 먼저 수소를 활용하고 산업과 발전부문 활용 방안도 모색해 2030년 이후에 철강과 해운 등 산업용으로 활용 범위를 넓히기로 했다.

독일은 현지 생산 수소 수요에 맞춰 설비 투자와 지원 정책을 수립했다. 2030년 독일에서 만든 수소 수요량을 95∼139TWh(테라와트시·1TW는 1조W)로 높이고 수전해 설비 용량 10GW를 구축할 계획이다. 수입한 수소 수요량도 2030년 45~90TWh로 달성해 수소 경제를 위한 인프라 마련에 매진하기로 했다. 2023년부터 2028년까진 매년 500MW(메가와트) 규모 수전해를 입찰해 그린수소 생산을 지원한다.

일본도 2030년 연간 300만t 규모의 수소를 공급하기 위해 국내외에 수전해 설비를 설치할 구상을 세웠다. 저탄소 수소 공급 인센티브 등으로 수소 생산을 지원하고 그린수소 생산국과 협력 강화도 추진할 방침이다.


오피니언

포토

이안 '러블리 카리스마'
  • 이안 '러블리 카리스마'
  • 하츠투하츠 에이나 '깜찍한 매력'
  • 문가영 '완벽한 여신'
  • 정소민 완벽 이목구비…단발 찰떡 소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