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김해~밀양 고속도로 건설사업이 예비타당성조사를 최종 통과했다. 경남도는 타당성조사, 기본 및 실시설계 등 후속 절차가 신속히 추진될 수 있도록 중앙정부와 협의할 방침이다.
2일 경남도에 따르면 ‘김해~밀양 고속도로’는 김해 진례면(진례 분기점)에서 밀양 상남면(남밀양 나들목)을 잇는 총연장 약 19.8km, 총사업비 약 1조5000억원의 노선이다. 나들목(IC) 2개소와 분기점(JCT) 3개소를 포함한다.
2017년 제1차 고속도로 건설계획에 반영됐으나, 사업 시급성, 타당성 등 재검토가 필요해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에 선정되지 못하고 답보상태에 있었다.
민선 8기 경남도가 중앙정부, 한국도로공사 등 관계기관, 지역 국회의원과 협력하며 사업 재추진에 나선 결과 이번 예타 통과 성과를 거뒀다.
김해~밀양 고속도로는 부산항신항·진해신항을 비롯해 경남 동남권과 북부권을 연결하는 핵심 물류 축이자 수도권·대구경북과 직결되는 국가 간선망 확충 사업이다.
또 미래 북극항로 시대 부산항 진해신항의 글로벌 거점항으로 도약을 위한 중요한 도로다.
고속도로 완공 시 하루 교통량은 최대 2만5000대에 달하며 그 생산유발효과는 약 1조8000억원, 부가가치유발효과 약 8000억원, 취업유발효과는 약 1만2100여명에 이를 것이라고 도는 내다보고 있다.
국지도 58호선(부산신항~가락IC 구간) 등으로 집중된 부산항(신항 포함)의 물류 흐름이 김해~밀양 고속도로로 분산되면 수송 효율성은 향상되고 물류비는 감소할 전망이다.
개발 중인 진해신항의 항만 경쟁력 강화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도는 판단한다.
부산·김해권과 밀양 내륙권이 직접 연결되면서 산업입지 접근성이 개선되고, 밀양 나노국가산단 등 지역산업 거점 활성화, 신규 일자리 창출, 인구감소위기지역 활력 등 지역균형발전 효과도 기대된다.
도는 진해신항-부산항신항-밀양 나노국가산단을 연계하는 동남권 순환형 물류망 구축 전략을 구체화하고, 산업·물류 네트워크 구축을 지속해서 추진할 계획이다.
박성준 도 교통건설국장은 “김해~밀양 고속도로 건설사업은 도로 확장을 넘어 부산항(신항) 물류경쟁력 강화와 지역균형발전을 동시에 실현하는 국가 전략사업”이라며 “새로운 산업 축을 중심으로 경남의 산업지도와 국가 물류지도를 그려나가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이집트 대박물관 개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2/128/20251102510407.jpg
)
![[특파원리포트] 경주에서 나온 복원의 첫 장면](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2/128/20251102510411.jpg
)
![[박영준칼럼] 美 위기 징후와 동맹전략의 과제](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2/128/20251102510379.jpg
)
![[심호섭의전쟁이야기] 저격능선·삼각고지 전투서 홀로 빛난 국군](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2/128/20251102510392.jpg
)







![[포토] 윈터 '깜찍하게'](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31/300/20251031514546.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