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WT논평] The humanitarian the greens hated

관련이슈 WT사설-논단

입력 : 2009-10-09 20:13:35 수정 : 2009-10-09 20:13:35

인쇄 메일 url 공유 - +

In his 1968 book “The Population Bomb,” Earth Day co-founder Paul R. Ehrlich stated definitively that “the battle to feed humanity is over. In the 1970s, the world will undergo famines ... a minimum of 10 million people, most of them children, will starve to death during each year of the 1970s.” Such shameful crisis-mongering probably helped book sales among the panicky and impressionable.

But the 1970s did not see the end of the world, due largely to the efforts of the 1970 Nobel Peace Prize winner, American agronomist Norman E. Borlaug. His work as father of the “Green Revolution” in agriculture has widely been credited with saving a billion lives.

Critics objected that he did not really solve anything, but only delayed the crisis; this line originated with Mr. Borlaug himself. In 1975, he said that the Green Revolution “only delayed the world food crisis for 20 to 30 years, and we have already used seven of them. If the world population continues to increase at the same rate, we will destroy the species.”

Mr. Borlaug was a great sinner to the green alarmists. He was a global-warming skeptic; he was pro-DDT and called arguments against chemical fertilizers “vicious, hysterical propaganda”; his agricultural methods relied heavily on irrigation and fertilizers based on fossil fuels; he promoted growing non-native crops; and -- in the Third World -- he disrupted so-called traditional ways of life, which presumably means squatting in mud huts hoping for international food aid to arrive.

For eco-radicals, Mr. Borlaug’s greatest sin was that for which he was most praised: preserving human life. The environmental movement at base is anti-human. People are the problem. A Huffington Post commentator took issue with the “anthropocentric” claim that Mr. Borlaug saved a billion lives.

This post underscores the hypocrisy of rich Western environmentalists. Of that species, Mr. Borlaug said, “They’ve never experienced the physical sensation of hunger. They do their lobbying from comfortable office suites in Washington or Brussels. If they lived just one month amid the misery of the developing world, as I have for 50 years, they’d be crying out for tractors and fertilizer and irrigation canals and be outraged that fashionable elitists back home were trying to deny them these things.”

Mr. Borlaug valued humanity and had confidence in the capabilities and aspirations of human beings. He applied his intellect and energy in ways that allowed millions of people to live longer, better lives. He truly was a great humanitarian, in every sense of the word. No wonder the environmentalists hate him so.

환경운동가들이 미워한 인도주의자

지구의 날 공동 창설자인 폴 R 얼리치는 자신의 1968년 저서 ‘인구폭탄’에서 이렇게 단정적으로 말했다. “인류를 먹이기 위한 전투는 끝났다. 1970년대에 전 세계가 기근을 겪을 것이며 그 기간 중 매년 최소한 1000만명이 사망할 것이며 그 대부분은 어린이다.” 이런 수치스러운 공포 조장 행위는 아마도 두려움을 느끼거나 감동을 받은 사람들이 책을 사도록 만드는 데는 도움이 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1970년대에 세계의 종말은 오지 않았다. 1970년에 노벨 평화상을 받은 미국 농업경제학자 노먼 E 볼로그의 노력 덕분이었다. 농업에서 일으킨 ‘녹색혁명’의 아버지인 볼로그는 10억명의 목숨을 살린 공로를 널리 인정받고 있다.

반대자들은 그가 실제로 문제를 해결한 것이 아니라 연기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말은 볼로구 자신이 한 말이었다. 그는 녹색혁명이 “세계의 식량위기를 20년 내지 30년 정도 연기시켰을 뿐이며 우리는 그 가운데 7년을 이미 썼다. 만약 세계 인구가 같은 비율로 증가할 경우 우리는 종들을 파괴할 것이다”고 말했다.

환경 기우론자들은 볼로그를 큰 죄인으로 보았다. 그는 지구온난화에 회의적이었다. 그는 DDT 사용에 찬성했고 화학비료 반대 주장을 “악랄하고 신경질적인 선전”이라고 불렀다. 그의 영농방식은 관개 및 화석 연료에 바탕을 둔 화학 비료에 크게 의존했다. 그는 외래종 농산물의 재배를 장려했다. 그는 토담집 안에 쭈그리고 앉아서 국제적인 식량 원조가 도착하기를 기다리는 것을 의미한 제3세계의 소위 전통적인 생활방식을 깨뜨렸다.

과격파 환경보호주의자들이 볼 때, 그가 가장 많은 찬사를 받는 공로야말로 그의 가장 큰 죄다. 환경운동은 기본적으로 반인도주의다. 환경운동은 사람을 문제로 본다. 허핑턴 포스트의 논평가는 볼로그가 10억명의 목숨을 구했다는 ‘인간 중심의’ 주장을 문제 삼았다.

허핑턴 포스트는 부유한 서방 환경보호주의자들의 위선을 강조한다. 그런 종들에 관해 볼로그는 이렇게 말했다. “그들은 배가 고픈 것을 실제로 체험한 적이 없는 사람들이다. 그들은 워싱턴이나 브뤼셀의 안락하고 호화로운 사무실에서 로비활동을 벌인다. 만약 그들이 개발도상 세계의 비참한 생활을 불과 한 달만 체험해도 트랙터와 비료 및 관개용 수로를 달라고 아우성을 칠 것이며 고국에서 유행하는 환경운동을 하는 엘리트들이 이런 요구를 거절하려고 시도할 경우 불같이 화를 낼 것이다. 나는 개도국의 비참한 생활을 50년 동안 겪었다.”

볼로그는 인간을 소중하게 생각했고 인간의 능력과 염원을 믿었다. 그는 자신의 지적 능력과 정력을 바쳐서 수많은 사람들의 수명을 연장하고 생활수준을 높였다. 어느 모로 보나 그는 진정으로 위대한 인도주의자였다. 환경보호주의자들이 그를 그토록 미워한 것은 이상할 것이 없다.

역주=오성환 외신전문위원

suhwo@segye.com

해설판 in.segye.com/english 참조

▲agronomist: 농업경제학자 

▲delay: 지연시키다 

▲anthropocentric: 인간 중심의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정소민 '완벽한 미모'
  • 정소민 '완벽한 미모'
  • 이영애 '눈부신 미모'
  • 혜리 '완벽한 미모'
  • 이영애 '상큼 발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