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美 ‘천안함’ 대응책 강구 본격화

관련이슈 해군 초계함 천안함 침몰 사고

입력 : 2010-05-12 01:08:34 수정 : 2010-05-12 01:08:34

인쇄 메일 url 공유 - +

스타인버그 부장관 “북한 외 ‘6자’국과 공조 필요”
원인조사 발표 후 美 고위급 韓·中 방문 가능성
배후 北 밝혀질 땐 북핵·유엔 제재 등 연계 처리
미국 정부가 천안함 사건의 대응책을 마련하기 위한 사전 정지 작업에 본격 나서고 있다. 무엇보다 정확하고 객관적인 원인 규명이 선행돼야 한다는 입장을 강조하고 있다. 현재 한국이 주도하고 있는 원인 조사 작업을 측면에서 지원하면서 증거물 찾기에 주력하고 있다. 미국 국무부의 제임스 스타인버그 부장관은 10일 브루킹스 연구소 연설을 통해 “현재 공동조사가 진행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미국 국무부의 제임스 스타인버그 부장관이 10일 워싱턴 DC에 소재한 브루킹스 연구소에서 열린 미중 관계 세미나에서 천안함 사건에 대한 미국의 입장을 설명하고 있다.
워싱턴=국기연 특파원
미국 정부는 천안함 사건을 단순히 남·북한 간의 문제가 아닌 국제적인 현안으로 다뤄나갈 계획이다. 미국은 천안함 사건의 조사 단계부터 국제공조 체제가 구축됐기 때문에 앞으로 조사 결과가 발표된 뒤에는 국제사회가 공동으로 대응책을 강구할 수 있도록 막후에서 준비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특히 6자회담 참가국 중에서 북한을 제외한 나머지 5개국이 공동전선을 형성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미국 측 관계자들이 말했다.

워싱턴의 한 외교 소식통은 “천안함 사건 조사 결과가 공식 발표된 뒤에 미국 정부의 고위급 인사가 한국, 중국 등을 방문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워싱턴 외교가에서는 오는 24일 베이징에서 열리는 미중 경제·전략 대화에 참석하기 위해 중국을 방문하는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이 이어 한국을 방문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클린턴 장관의 방한이 여의치 않으면 스타인버그 부장관, 스티븐 보즈워스 대북교섭 특별대표, 커트 캠벨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 등 고위 인사 중 한 사람이 한국 등을 방문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하지만 조사 결과가 나오기 전에 한미 고위급 간 협의는 북한 등이 결과의 신뢰성을 문제 삼을 수 있기 때문에 조사 발표 시점 확정 후 본격화될 전망이다.

미국은 천안함 사건의 주범이 북한으로 밝혀질 경우 이번 사건을 북한의 핵 개발, 유엔 안보리 결의 준수 등과 연계해 포괄적으로 대응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입장을 보였다. 스타인버그 부장관은 브루킹스 연구소 연설에서 이 점을 분명히 했다. 천안함 조사 결과 발표 후 필연적으로 제기될 대북 제재 문제를 논의하는 과정에서 북한 핵 문제 등 다른 현안과 묶어서 대응하겠다는 게 미국의 구상이다.

스타인버그 부장관은 이날 “현재 한국과 미국 간의 협력과 협의는 전례없을 정도의 수준에서 이뤄지고 있다”며 한미 양국이 주도하는 공동 대응책 마련에 자신감을 내비쳤다.

그는 천안함 사건 결과 발표 이후에 한미 간 군사전략을 변화시킬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느냐는 질문에 “한미 양국 군이 단일화된 지휘체계를 유지하는, 유례가 없는 협력관계를 구축해 공동으로 도전에 대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브루킹스연구소 토론회에서 잭 프리처드 한미경제연구소(KEI) 소장은 “천안함 사건이 성공적으로 해결되고 6자회담이 재개된다 해도 북한이 핵 개발을 포기할 가능성은 희박하다”며 종합적인 대응책 마련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조너선 폴락 미 해군전쟁대학 교수는 “북한이 더 이상 나쁜 선례를 남기지 않도록 중국의 협조를 유도하기 위해 미국이 중국에 금지선(red line)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워싱턴=국기연 특파원 ku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박보영 '순백의 여신'
  • 박보영 '순백의 여신'
  • 장희령 '해맑은 미소'
  • 정소민 '완벽한 미모'
  • 이영애 '눈부신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