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매립지 종료를 둘러싼 지역 간 갈등이 대표적인 예다. 수도권매립지 주변 주민들은 매립지 조성 당시 약속한 대로 2016년 매립을 종료하라고 강하게 요구하고 있다. 수도권매립지 반입량의 절반을 차지하는 서울시는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생활쓰레기의 약 23%를 수도권매립지로 보냈던 서울시는 최근 ‘생활쓰레기 직매립 제로 선언’을 했다. 최홍식 자원순환과장은 “수도권매립지를 대체하거나 소각장을 지을 곳을 더는 찾을 수 없다”면서 “우리는 쓰레기와의 전쟁을 시작했다”고 말했다.
매립장뿐 아니라 소각장에서도 쓰레기 반입 거부 사태가 자주 벌어진다. 현재 생활쓰레기의 약 15%는 매립, 25%는 소각된다. 지난 3월 서울시내 3개 자치구의 쓰레기가 양천자원회수시설(소각장)로 5일간 반입되지 못했다. 소각과정에서 유독가스를 배출하는 재활용품이나 음식물쓰레기가 종량제봉투에 섞여 있었기 때문이다. 쓰레기 처리에 골머리를 앓는 지방자치단체에서는 부산 서면거리 청소파업과 같은 극단적인 충격요법을 쓰기도 하지만 효과는 그때뿐이다.
종량제봉투째 매립될 뻔한 쓰레기가 연료로 부활하는 시설이 있다. 지난 24일 인천 백석동 수도권매립지 안에 설치된 ‘가연성폐기물 자원화 시범시설’을 찾았다.
종량제봉투에 들어 있던 쓰레기는 파봉 후 선별을 거쳐 재활용할 것과 매립할 것, 연료로 만들 것(가연성) 등으로 나뉜다. 캔, 병뚜껑 등 재활용이 가능한 철재류는 따로 모은다. |
이곳에서는 하루 100t의 고형연료를 생산해 열병합발전소에 판매하고 있다. 시범시설이라 수도권매립지에 들어오는 생활쓰레기의 4%밖에 소화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는 시설을 대폭 확충해 매립지에 반입되는 생활쓰레기 전량을 처리해 직매립 제로를 만들겠다는 계획을 세웠지만, 매립 종료 문제를 놓고 상황이 복잡해지면서 추진은 중단됐다. 수요처가 없어 수지타산을 맞추기 버거운 점도 해결해야 할 과제다.
정부는 쓰레기를 자원으로 활용해 천연자원과 에너지 사용을 최소화하는 ‘자원순환사회’로의 전환을 이루기 위한 일환으로 자원순환사회전환촉진법(자순법)을 국회에 제출했다. 환경부 김동구 자원순환정책과장은 “자순법이 시행되면 단순 매립·소각되는 연간 2300만t의 폐기물 가운데 1000만t을 자원순환경제로 회수할 수 있다”며 “매립을 제로화하면 매립지 수명도 20년 이상 연장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현재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에는 정부·여야 의원이 발의한 관련 법안 5건이 제출돼 법안소위에서 논의 중이다. 자원순환사회로의 전환은 피할 수 없는 소명이고 관련법 제정의 시급성은 누구도 부인하지 않는다. 다만 순환자원과 폐기물의 개념 등 세부 내용에 있어 정부와 재활용업계, 시민단체 등의 입장이 엇갈리고 있다.
정부 법안에서는 ‘일정 요건’을 충족하면 폐기물에서 제외해 순환자원으로 인정토록 했다. 이때 정부는 경제성과 환경성 두가지를 충족시켜야 한다는 입장인 반면 유용성만 있으면 규제없이 활용하자는 주장도 있다.
인천=글 윤지희, 사진 김범준 기자 phhi@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