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이종헌 "중국의 대북 원유 공급 줄어들 수밖에 없다"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17-10-23 12:39:47 수정 : 2017-10-23 13:02:39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중국의 대북 원유 공급 중단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큰 가운데 중국의 대북 원유 공급은 앞으로 줄어들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이종헌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글로벌 플래츠의 서울 특파원은 23일 출간한 저서 ‘에너지 빅뱅’(사진)에서 “중국이 북한에 보내는 원유의 양이 줄어든 것은 중국의 경제성장으로 석유수요가 급증했고 공급원인 다칭 유전의 생산이 감소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 특파원은 “중국은 줄어든 원유 대신 경유 등 석유제품을 공급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중국은 원유 정제를 통해 나프타, 경유, 휘발유 등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는데 시장상황에 따라 일부 제품이 과다생산되기도 한다”고 했다. 시장에서 공급이 부족한 휘발유를 더 많이 뽑아내기 위해서는 더 많은 원유를 정제해야하는데 불가피하게 이 과정에서 경유나 벙커C유 등 다른 제품 생산도 덩달아 늘어나고, 이럴 경유 과다 생산된 제품의 일부를 북한에 원유 대신 보낸다는 얘기다. 수입된 석유제품 중 일부는 남포항이나 해주항을 통해 유조선으로도 북한에 들어간다.

이 특파원은 저서에서 “중국이 조·중우호송유관을 통해 북한으로 보내는 원유의 생산지인 다칭 유전은 고갈이 빠르게 진행되고 생산단가도 높아 2014년 이후 저유가 국면에서 생산을 제대로 못하고 있다”며 “미국의 셰일혁명 이후 경질류 공급이 늘어나 가격이 떨어지면서 중질유의 상대적 가격은 오르고 있어 중질유인 다칭 원유의 판매도 떨어지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미국발 셰일혁명이 돌고 돌아 북한에게 타격을 주는 또 하나의 사례”라고 했다.

중국이 북한에 보내는 원유는 주로 다칭 유전에서 생산된 것으로 조·중(북·중)우호송유관을 통해 북한 신의주에 있는 정유공장인 봉화화학공장으로 보내진다. 다칭 원유는 API 지수(원유의 비중과 유황 함량을 객관화해 나타낸 것) 32.2도로 무거운 편이며 황을 함유한 0.11%의 중간 정도의 저유황 원유다. 유황성분은 적어 탈활장치가 필요하지는 않지만 중질유라서 잔사유 성분이 70% 가까이에 이른다. 30%의 유분으로 나프타, 경유, 휘발유 등 북한이 필요로하는 경질 석유제품을 생산하고 있다고 한다. 고도화 설비가 없는 북한에 적합한 유종은 아니지만 대안이 없기 때문에 다칭 원유에 의존적일 수 밖에 없는 사정이다.

조·중우호송유관은 다칭에서 다롄항으로 이어지는데 셴양 인근에서 지선을 통해 북한으로 들어간다. 중국 지역 260km를 지나 북한 지역 30여km를 통과한 후 봉화화학공장으로 이어지는 경로다. 1976년 완광된 이 송유관은 연간 최대 300만t의 원유와 100만t의 제품을 수송할 수 있다. 봉화화학공장에서 원유를 정제해 만든 나프타는 파이프라인을 통해 안주에 있는 북한의 유일한 석유화학공장인 남흥청년화확연합기업소로 보내진다.

이 특파원은 “다칭 유전을 운영하는 페트로차이나는 2017년 투자를 20% 감축했기 때문에 향후 생산은 더 줄어 북한으로 보내는 양도 감소할 것”이라며 “다칭 유전의 고갈로 중국의 전체 원유 생산도 사상 최저수준으로 빠르게 줄고 있다”고 진단했다. 중국으로서는 북한에 많은 물량을 보낼 여유가 없는 셈이다. 북한 입장에서는 중국 대신 원유를 공급해줄 대체 수입원을 찾아야하는 절박한 이유가 생긴 것이고 중국 대신 찾아낸 국가는 러시아다.

러시아는 ESPO(동시베리아·태평양) 송유관을 통해 북한으로 원유를 보낼 수 있는데 API 지수 34.8도로 다칭 원유보다 상당히 가벼워 잔산유 함량이 적어 고도화 설비가 없는 북한에는 러시아 원유가 더 유용할 수 있다는게 저자의 판단이다. 러시아와 북한 사이에는 송유관이 연결되어 있지 않지만 ESPO송유관이 북한과 인접해 있어 원유 수출에 용이하고,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선박이나 열차로 수송할 수 있다. 북한의 최대 정제설비인 승리화학공장이 러시아의 국경과 맞닿아 있어 이 원유를 바로 공급할 수 있다. 북한이 선봉항에서 원유를 받은 뒤 해저 파이프라인을 통해 부두까지 도착한 뒤 6km 떨어진 승리화학공장까지 파이프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구조다. 선봉항에는 유조선 전용 부두도 있고, 공장 내부까지 철도가 연결되어 있어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열차로도 원유 수송이 가능한 시스템이다.

옛 소련 붕괴 이전까지는 선박이나 열차를 통해 매년 약 300∼735만 배럴의 원유가 승리화확공장으로 공급됐다. 하지만 1990년 이후 러시아의 원유 공급이 끊기면서 가동이 거의 중단됐다고 한다. 이 특파원은 “2002년과 2003년 두 차례를 제외하고는 러시아 원유가 공급된 움직임이 없다가 최근 재개된 것으로 보인다”며 “북한의 서해에는 해상에서 원유를 받을 설비가 없어 유조선으로 도입된 모든 원유는 선봉항으로 왔을 것”이라고 봤다. 북한의 승리화학공장이 현재는 거의 가동되지 않고 있으나 미국 스탠튼 그룹과 러시아 가즈프롬, 몽골의 정유업체 등이 투자의향을 내비치기도 한 바 있어 러시아 원유 공급이 재개되면 승리화학공장도 다시 가동 될 것이라는게 저자의 판단이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올해 9월 중국에서 열린 브릭스 정상회담에서 북한에 분기당 4만t의 원유와 석유제품을 수출하고 있다고 공개했다. 이는 연간 16만t 규모로 과거보다 상당히 늘어난 물량이며 유엔 자료에 따르면 러시아는 2015년에 3만6000t의 석유제품을 북한으로 수출했다. 이 특파원은 “공식적 도입이 아니라도 나진항, 선봉항, 청진항 등 동해 항구를 통해 러시아 석유제품을 밀수입할 수도 있다”며 “실제로 러시아에서 밀수된 석유는 ‘나홋가 연유’로 불리며 유통되고 있다”고 전했다. 나홋가 연유는 블라디보스토크 인근 나홋카항에서 왔다는 의미라고 한다.

이런 사실을 종합하면 북한의 김정은 체제를 겨냥한 제재·압박 강도를 높이는 수단으로 인식된 중국의 대북 원유 공급이 설사 중단되더라도 북한이 크게 아프지 않을 것이라는게 저자의 분석이다. 미국의 노틸러스 연구소 추정에 따르면 북한은 석유의 29%를 전기 생산에 쓰고 수송이 23%를 차지한다. 군사용은 19%다. 원유공급이 중단되면 군사부문에 타격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는 대목이다. 이 특파원은 “석유가 부족하면 군에 집중 공급하고 일반경제는 나무나 석탄에 의존하며 견디는 것”이라며 “석유 의존도가 매우 낮은 북한과 의존율이 40%에 육박하는 우리나라의 기준으로 석유 공급 중단의 영향력을 분석해서는 안된다”고 지적했다. 그는 “북한은 석유 의존도가 매우 낮고 석유 공급은 군 우선으로 하고 있으며 필요하면 국가 차원에서 밀무역으로 조달할 수 있다”며 “중국이 북한에 대한 원유공급을 중단한다고해서 기대한만큼 김정은 정권에 엄청난 타격을 안기지는 못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오히려 북한이 석유 공급에 대한 보복으로 해상으로 미사일을 쏴대는 경우 바닷길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한국의 원유 공급에 중대한 위협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이 특파원은 “북한은 국제해사기구(IMO)나 국제민간한공기구(ICAO)에 사전통보없이 미사일을 발사하고 있어 해상 운송 리스크를 키우고 있다”며 “실제 해외 원유 수송업체들은 한국 물량 수송의 리스크가 커진만큼 운송료 인상을 요구하기 시작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러한 운송 리스크는 중국과 일본도 마찬가지”라며 “자칫 원유 공급 중단 조치가 득보다는 실이 더 많을 수도 있는 것”이라고 우려했다.

‘에너지 빅뱅’ 저자인 이 특파원은 2015년 유가 급락과 장기 저유가 시대를 예측한 베스트셀러 ‘오일의 공포’(공저)를 내놔 큰 반향을 일으켰던 에너지 전문가다.

김민서 기자 spice7@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한지은 '매력적인 미소'
  • 한지은 '매력적인 미소'
  • 공효진 '공블리 미소'
  • 이하늬 '아름다운 미소'
  • 송혜교 '부드러운 카리스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