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9월15일 자정을 조금 넘긴 시각, 미국 투자은행 리먼브러더스가 뉴욕 남부 파산법원에 파산보호 신청을 하겠다는 보도자료를 냈다. 이 소식이 전해지자 뉴욕 증시를 비롯한 국제 금융시장이 일시에 패닉에 빠졌다. 글로벌 금융위기 10년을 계기로 되돌아본 한국 경제는 낙관적이지 않다. 재정, 금융정책, 고환율정책을 통한 수출 확대로 금융위기를 조기 극복하며 ‘위기 탈출 모범국’이라는 평가를 얻었지만 전문가들은 ‘거기까지였다’고 평가한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의 성장경로로 돌아가지 못하고 저성장의 늪에 빠져 지난 10년간 제자리걸음에 그쳤다는 것이다. 전문가 10명에게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10년에 대한 평가와 과제를 물었다.
안동현 서울대 경제학과 교수는 13일 본지와의 통화에서 “지난 10년 동안 우리나라는 성장률이 올라가지도 않고 내려가지도 않는 ‘좀비 상태’에 가까웠다”며 “경제라는 것은 증폭이 있어야 경제 활력이 생기고 새로운 투자가 이뤄지고, 또 한계기업이 퇴출되는 등 선순환이 일어나는 것인데 우리는 가만히 있는, 그러니까 냄비 속 개구리와 같은 상태”라고 말했다.
수출을 제외한 각종 경제 지표들은 하향 곡선을 그리고 있다. 고용, 양극화, 출산율 등의 주요 경제 지표 뒤에는 매달 ‘쇼크’라는 단어가 따라다닌다. 송원근 한국경제연구원 부원장은 “정부가 노동 공급에 대한 문제, 저출산 문제 등에 마땅한 대안이 없는 것 같아 보인다”며 “설상가상 주력산업 경쟁력이 떨어져 가고 있고, 신성장 동력은 안 보인다”고 진단했다. 홍춘욱 키움투자증권 연구위원은 “저성장이 일상화되었다. 혁신이 사라지면서 성장이 둔화됐다”며 “가계부채가 증가하고 혁신성장 동력도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또 다른 위기에 대비하기 위해선 과감한 규제개혁이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았다.
유정주 전국경제인연합 기업혁신 팀장은 “오히려 2008년부터 규제는 강화해 왔다. 주 52시간, 급격한 최저임금 인상, 유례없는 공정거래법상의 처벌 조항 등 규제를 강화할 것이라는 시그널 때문에 국내 기업들이 자꾸 해외로 나간다”며 “일부 규제 몇 개 푼다고 해서 되는 게 아니라 이제는 ‘혁신’을 강조하며 규제를 과감히 혁파한다는 정부 차원의 시그널을 기업인들에게 확실히 각인시켜, 투자의지를 다시 되살리려는 방향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노동시장 이중구조 개선과 벤처생태계 조성이 필요하다는 주문도 이어졌다. 송원근 부원장은 “진짜 본질적인 문제는 노동시장 이중구조가 갈수록 심화하고 있는 것이고 노동시장 경직성까지 더해진 상황”이라며 “선진국처럼 고부가가치 산업에서 선별적으로 해외 인력을 받아들일 필요도 있다”고 조언했다. 신진영 연세대 경영학과 교수는 “우리나라 벤처생태계가 아직 잘 조성되지 않아 역동성이 상당히 떨어진다. 회생제도의 개선이 더 필요하다”며 “증권사들을 비롯한 금융기관이 자체 역량으로 선순환 투자가 이뤄져야 하고 정부에서도 자금 지원에 따른 성과평가 체계를 갖출 필요도 있다”고 설명했다.
세종=박영준 기자, 김라윤 기자 yjp@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