獨, 1차 접종자에 교차접종 권고

옥스퍼드대-아스트라제네카(AZ)의 코로나19 백신이 특이 혈전을 일으킬 수 있다는 유럽의약품청(EMA) 발표가 나오면서 각국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연령을 재조정하고 있다.
7일(현지시간) AP통신 등에 따르면 영국은 30세 미만에는 가능한 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이 아닌 다른 백신을 접종하라고 권고했다.
영국에서는 지난달까지 2000만회의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사례 중 79명에게서 혈전 반응이 나타났다. 이 가운데 19명이 숨졌는데 대부분 30세 미만이었다. 이에 따라 영국은 30세 미만에는 다른 백신 접종을 권하기로 했다. 다만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1차 접종을 하고 부작용이 없었다면 2차 접종도 받아야 한다. 영국 백신 접종 및 면역 공동위원회(JCVI)의 웨이 셴 림 위원장은 “심각한 안전 우려가 있어서가 아니라 극히 조심하는 차원에서 특정 연령대에 어떤 백신이 나을지 조언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다른 백신보다 저렴하고 보관이 편해 111개 국가에서 접종 중이다. 화이자(82개국)나 모더나(35개국), 시노팜(25개국)보다 훨씬 널리 사용된다. 그러나 백신 승인 단계부터 최근까지 예방효과, 임상시험 적절성, 부작용에 대한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이번 EMA 발표에 따라 독일은 60세 이상만 접종하기로 했다. 이미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으로 1차 접종을 받은 60세 미만은 2차 접종 시 화이자나 모더나의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을 활용하라며 교차접종을 권했다.
노르웨이와 덴마크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사용을 전면 중단했고, 스페인은 60∼65세에게만 이 백신을 접종하기로 했다. 벨기에는 56세 이상에게만 접종하고, 이탈리아와 프랑스, 네덜란드, 캐나다 등도 55세 혹은 60세 이상에게만 접종할 방침이다. 호주는 50세 미만 국민에게 화이자 백신을 우선적으로 제공하는 방안을 권고했다.
윤지로 기자 kornyap@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