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의힘 허은아 의원은 9일 “조만간 언론과 방송, 포털 등 미디어 통신을 둘러싼 ‘여당발 전쟁’이 국회에서 벌어질 것”이라며 “공영방송이 더 이상 현 정권의 나팔수 노릇을 못하도록 강력 대응해야 한다”고 밝혔다.
허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우리는 이번 4·7 재보궐 선거 기간 내내 여당의 네거티브와 TBS, KBS, MBC 등 방송의 편파 보도와 치열하게 싸웠다”며 “그렇게 기울어진 선거 환경에서도 여권 심판 결과가 나타났는 데도 더불어민주당 내 강성 친문(친문재인) 인사들은 지금 언론과 포털 탓을 하고 있다. 적폐청산이 덜 돼서 선거에서 졌다고 강변한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김어준은 (선거 전) 자신의 유튜브 채널에서 ’이번 선거가 끝나면 포털의 공공통제를 법으로 꼭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고 여당 의원이 맞장구를 쳤다”며 “우리는 여당이 선거 전 공언한 ‘언론협박법’, ‘국민제갈법’을 언제든 밀어붙일 수 있다는 위기의식을 갖고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민주당 김종민 의원은 선거 직후인 지난 8일 라디오방송에서 여권에 불공정한 언론 보도가 이번 재보궐선거 결과에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국민의힘 오세훈 서울시장의 내곡동 땅 의혹과 박형준 부산시장의 엘시티 특혜분양 의혹을 거론하며 “이런 점을 언론이 꼼꼼이 따져줘야 한다”며 “이게 마타도어다, 네거티브다, 흑색선전이라고 하는 주장이 언론에 많이 실리면 바쁜 국민들이 이런 걸 다 따질 수가 없다. 언론이 사실에 대해서 만큼은 공정하게 따져줘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보궐선거에서 이런 정도였는데 대선에서까지 ‘언론이 편파적이다, 그라운드 안에 들어왔다’는 느낌을 주게 되면 민주주의에 위험 요소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민주당 권리당원 게시판에서도 언론 보도를 문제 삼으며 언론 개혁 입법을 추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한 당원은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태가 선거 패배의 주요 원인이 아니다”며 “지금이라도 징벌적 손해배상 제도를 담은 언론개혁법을 통과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현미 기자 engine@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