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산업별 저탄소 기술 개발·인식 전환·정부 정책 지원이 관건 [멀지만 가야 할 길 ‘2050 탄소중립’]

입력 : 2021-05-12 05:00:00 수정 : 2021-05-13 15:25:21

인쇄 메일 url 공유 - +

(하) K-탄소중립, 성공하려면

“EU 2023년부터 탄소국경세 도입 상황
탄소중립 못하면 외국에 비용 지불해야”

“경쟁력 갖춘 제조업 우위 활용 전략 필요
제품구조 고도화 통해 부가가치 높여야”

“온실가스 감축 통한 산업·경제 성장 중요
정부, 그린수소 등 인프라 구축에 재정 투입”

세계 주요국들이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2050년까지 ‘탄소중립(탄소순배출 0)’을 추진하고 있다. 유럽연합(EU)과 중국, 일본 등에 이어 우리나라도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우리 정부는 지난해 말 ‘2050 탄소 중립’을 선언했다. 이미 정부는 석탄화력발전소를 조기에 감축하면서 태양광과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늘려왔다. 수소 경제로의 전환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하지만 온실가스 배출이 많은 화석연료와 제조업의 비중이 높은 우리나라 경제구조에서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넘어야 할 산이 많다. 전문가들은 결국 산업별 저탄소 기술 개발이 탄소중립 성패를 좌우할 것으로 전망했다. 또 인식 전환과 정부 정책의 전폭적인 지원도 필요하다고 짚었다.

 

윤순진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는 11일 세계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자본력과 기술력을 앞세운 유럽 국가와 미국 등 선진국들이 탄소중립을 목표로 설정하고 국제경제 질서를 바꿔가고 있다”며 “당장 유럽연합의 경우 2023년부터 탄소국경세를 도입하겠다고 했다. 수출 의존도가 높은 우리에게는 이러한 변화가 압력으로 다가오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다.

 

윤 교수는 “결국 우리 안에서 탄소중립이 이뤄지지 않으면 미래에는 외국에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는 의미”라며 “이러한 대전환 시기에 어떻게 저탄소 방향으로 바꿔낼지 정부와 대기업은 물론 중소기업, 노동자까지 고민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 교수는 조만간 출범하는 탄소중립위원회 민간위원장에 내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탄소중립에 발 빠르게 대처하는 기업은 탄소중립이 새로운 도약의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봤다. 윤 교수는 “투자자와 고객, 소비자들이 이미 저탄소 기업과 제품에 대해 기대를 걸고 있고, 기업들도 앞다퉈 RE100(기업이 사용하는 전력 100%를 재생에너지로 충당하겠다는 캠페인)에 가입하는 방법으로 어필을 하고 있다. 이는 시장의 변화를 의미한다”면서 “이미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도입한 기업에 매출과 수익의 긍정적인 변화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오고 있다”고 설명했다.

윤순진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왼쪽부터), 정은미 산업연구원 본부장, 안윤기 포스코경영연구원 상무

전문가들은 탄소중립 시대에 우리가 가진 경쟁력을 최대한 살릴 수 있는 전략이 시급하다고 강조한다.

 

정은미 산업연구원 성장동력산업연구본부장은 “EU와 미국은 자신들을 추격하는 여러 국가를 떨쳐낼 수 있는 경쟁의 룰을 바꾸기 위해 탄소중립을 갖고 나왔다고 생각한다”며 “우리는 아무것도 없이 따라만 간다는 기분이 든다”고 안타까워했다.

 

그러면서 “우리도 경쟁력을 갖고 있는 제조업 우위를 탄소중립에서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전략이 필요하다”며 “지금까지 우리 제조업은 대량생산과 효율화 추구 등 생산단계에 집중돼 있었는데, 세계시장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연구개발(R&D), 제품구조 고도화 등을 통해 전체적인 부가가치를 올려야 한다”고 짚었다.

 

그는 또 글로벌 시장에서 통할 제품으로 △초고효율 전동기 △초고강력 강판 △제로에너지 빌딩을 만들 수 있는 건자재 등을 꼽으며 “방어적인 탄소 감축 노력과 동시에 새로운 성장동력을 만드는 전략을 잘 갖춰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안윤기 포스코경영연구원 상무도 탄소중립을 통한 성장 전략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안 상무는 12일 서울 중구 더플라자호텔에서 열리는 2021 세계에너지포럼 토론자로 참석한다. 안 상무는 “정부가 탄소감축 청사진을 내놓았고 산업 육성과 관련한 구체적인 로드맵을 기획 중인 상황”이라며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온실가스 감축이 중요한 만큼 이를 바탕으로 우리 산업과 경제가 어떻게 성장할 것인가에 대해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아울러 기술 개발이 결국 탄소중립의 핵심이 될 것으로 봤다.

 

안 상무는 “철강산업의 경우 수소환원제철법을 개발해야 하고, 온실가스 다배출 업종에도 탄소중립을 달성할 핵심기술 개발이 순차적으로 이뤄질 것”이라며 “정부 역시 그린전력이나 그린수소 등의 인프라 구축과 경제성을 갖출 수 있도록 재정 투입 및 수용성을 높이기 위한 정책들을 함께 펼쳐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정우 기자 woolee@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김혜수 '눈부신 미모'
  • 김혜수 '눈부신 미모'
  • 유인영 '섹시하게'
  • 박보영 '인간 비타민'
  • 박지현 ‘깜찍한 손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