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만 50∼52세를 대상으로 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 사전예약이 20일 오후 8시부터 시작됐다. 이번 사전예약도 초반에 예약 신청자가 몰리며 사이트 접속이 원활하지 않아 질병관리청은 홈페이지를 일시 중단하는 조치까지 취하기도 했다.
이날 질병청은 ‘코로나19 예방접종 사전예약’ 누리집에서 50∼52세 백신 사전예약을 받기 시작했다. 앞서 다른 연령층 예약 때와 마찬가지로 8시 직후 신청자가 몰리며 ‘사전예약 바로가기’를 선택하자 접속대기 안내가 떴다. 질병청은 사전예약 시스템 과부하를 줄이기 위해 질병청 대표 누리집은 21일 0시까지 일시 중단했지만 접속 장애가 바로 해소되지는 않았다.
정부는 접속 원활화를 위해 서버를 증설하고 발견되는 관련 오류를 수정하는 등 조치를 취하고 있다고 밝혔지만 이날도 장시간 대기에 더해 ‘튕김’ 사례까지 발생했다. 전날 진행된 만 53∼54세 사전예약 때도 예약 개시에 앞서 시스템 점검을 했음에도 접속 지연 문제가 발생해 예약을 일시 중단했다가 서버 증설 뒤 오후 10시에 재개했다.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은 반복되는 사전예약 시스템 과부화 문제가 신청자가 한꺼번에 몰리는 탓에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시스템이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접속 건수는 30만건 정도인데 전날 만 53∼54세 사전예약에는 한때 신청자 600만명이 동시접속을 하기도 했다.
정우진 추진단 시스템관리팀장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53∼54세가 사전예약한 19일) 20시, 딱 개통되고 나서 요청 건수는 1000만건 정도”라며 “접속자가 쏠려서 발생하는 문제는 네이버 클라우드 측에 대응을 맡긴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추진단은 53∼54세 대상 인원이 150만5074명이지만 접속 요청이 1000만건에 달한 원인도 분석하고 있다.
결국 과부하 문제를 해결하려면 서버를 더 증설해야 하는 상황이지만 정부는 섣부른 증설에는 신중한 입장이다. 여준성 보건복지부 장관 정책보좌관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재원을 들여 서버를 충분히 확보하는 방법도 있겠지만 예약기간은 충분하고 언제든 예약만 하면 누구나 접종이 가능한 상황에서 서버 증설은 향후 재원 낭비 논란이 있을 수 있다”고 밝혔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