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계종 전 총무원장을 지낸 월주(月珠)스님이 22일 열반했다. 법랍 67세, 세수 87세.
조계종은 월주 스님이 이날 오전 9시45분쯤 자신이 조실(祖室)로 있는 전북 김제 금산사에서 입적했다고 밝혔다. 고인은 올해 폐렴 등으로 동국대 일산병원에서 입원 치료를 받아오다 이날 새벽 금산사로 자리를 옮겨 마지막 시간을 보냈다.
월주 스님은 한국 불교계를 이끈 대표 인물 중 한 명이다. 1980년 군홧발에 짓밟힌 ‘10·27 법난’ 최대 피해자였던 그는 조계종 개혁에 앞장섰고 불교계의 사회 참여를 강조하면서 여러 시민사회단체에서도 활동했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 지원 시설인 ‘나눔의 집’ 대표이사도 맡았으나, 운영진의 후원금 유용·할머니 학대 사건으로 해임된 일이 오점으로 남았다.
월주 스님은 1935년 전북 정읍에서 태어났다. 서울 중동중학교에 다니다 한국전쟁 발발로 중퇴하고 낙향했다. 이후 정읍농고 2학년에 재학 중인 1954년 금오스님을 은사로 출가해 사미계를 받았고 1956년 비구계를 받았다.
30대 때인 1961년부터 10여 년간 금산사 주지를 맡아 불교 정화운동에 앞장섰다. 개운사, 영화사 주지를 거쳐 신군부가 집권한 1980년 조계종 제17대 총무원장을 맡았고 1994년 조계종 개혁 당시에는 제28대 총무원장을 지냈다.
특히 전국 사찰이 신군부의 군홧발에 짓밟힌 1980년 10월27일 ‘법난’ 때 강제 연행돼 총무원장 자리에서 강제로 물러나야 했던 피해자다. 당시 노태우 보안사령관이 이끈 합동수사본부 산하 합동수사단은 ‘불교계 정화수사계획-45계획’을 수립해 월주 총무원장 등 45명을 체포하고 조계종 스님 등 153명을 강제 연행했다. 또 전국 사찰과 암자 5731곳을 일제 수색했다.
국방부 과거사진상규명위원회는 2007년 ‘10·27 법난’에 대한 재조사 내용을 발표하면서 ‘특정 종단에 대한 국가권력 남용의 대표적 사건’이라고 결론 냈다.
이후 스님은 미국 등지로 떠나 한국 불교의 나아가야 할 방향 등을 고민한 끝에 종교의 대사회 운동을 불교계 책무로 받아들이고 사회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공동대표(1989년), 불교인귄위원회 공동대표(1990∼1995),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상임대표(1996), 실업극복국민운동본부 공동대표(1998) 등을 지냈다. 2003년에는 국제개발협력 비정부기구(NGO)인 지구촌공생회를 세우고 이사장을 맡아 아시아, 아프리카, 중남미 등 세계 각지에서 식수, 교육, 지역개발 사업을 폈다.
그는 위안부 할머니들을 위한 조계종 ‘나눔의 집’ 설립도 주도했다. 하지만 대표이사로 있던 지난해 운영진이 수십억원의 후원금 중 2.3%만 피해자를 위해 사용하고, 간병인들이 할머니들을 정서적으로 학대한 사실이 확인돼 지난해 12월 월주 스님 등 이사진 5명이 해임됐다.
저서로는 회고록 ‘토끼뿔 거북털’ 등이 있다. 고인의 장례는 5일간 금산사에서 조계종 종단장으로 치러진다. 영결식과 다비식은 26일 진행한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