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10조 들어간 ‘디지털 뉴딜’ 성과 치켜세운 정부

입력 : 2021-07-22 19:33:31 수정 : 2021-07-22 23:07:47

인쇄 메일 url 공유 - +

“기업 17만곳 참여… 시장 크게 성장
4년내 49조 들여 ‘뉴딜 2.0’ 시행”
강도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보통신정책관이 지난 2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디지털 뉴딜 2.0 추진계획과 1주년 성과와 관련한 사전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지난 1년간 추진한 ‘디지털 뉴딜’로 데이터 기반 확충과 고용 위기 완화 등의 성과를 낸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2025년까지 49조원을 추가 투입해 정책 속도를 더욱 높인다는 계획이다. 디지털뉴딜은 국가 발전계획 한국판 뉴딜의 일부로, 공공 데이터를 민간이 활용할 수 있도록 구축하는 ‘데이터 댐’ 등을 주요 사업으로 한다.

 

22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관계부처와 함께 디지털뉴딜 1주년 성과를 공유했다.

 

정부에 따르면 데이터댐(5만여명), 공공데이터 청년 인턴(1만5000여명), 디지털 배움터(8000여명) 등 뉴딜 주요 사업에 7만명 이상이 참여했다. 정부는 이를 통해 고용위기 완화에 기여했다고 자평했다.

 

1년간 디지털뉴딜 사업에 참여한 기업과 기관은 약 17만개였다.

 

올해 데이터 공급기업은 1126개로 2019년(393개)보다 2.9배 늘었고, AI 공급기업은 991개로 2019년(220개)보다 4.5배 증가했다.

 

지난해 국내 데이터 시장 규모는 19조3000억원으로 전년(16조9000억원) 대비 14.3% 늘었다. 특히 금융·교통·문화·의료 등 4300종 이상 분야에서 10억건 이상 데이터가 구축·개방·활용됐다.

 

정부는 2025년까지 49조원을 투입해 디지털 뉴딜 2.0으로 미래 신산업 육성과 성과 확산에 주력하고 메타버스, 블록체인, 클라우드 등 초연결 신산업을 적극 육성한다는 방침이다. 올해 디지털뉴딜 2.0은 지난해 구축한 인프라를 민간에 제공해 활용하는 것이 골자다.

 

정부는 민간 주도 혁신이 일어날 수 있도록 데이터댐과 5G 고속도로 등 인프라를 민간 영역에 제공한다. 공공부문에는 민간 기업 클라우드 활용을 권장한다.

 

임혜숙 과기정통부 장관은 “다양한 채널을 통해 민간과 협업·소통해 디지털 뉴딜 2.0 분야별 추진계획을 구체화해 발표·시행하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혁신적 변화를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김건호 기자 scoop3126@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지수 '시크한 매력'
  • 지수 '시크한 매력'
  • 에스파 닝닝 '완벽한 비율'
  • 스칼렛 요한슨 '아름다운 미모'
  • 베이비몬스터 아현 '반가운 손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