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내 49조 들여 ‘뉴딜 2.0’ 시행”

정부가 지난 1년간 추진한 ‘디지털 뉴딜’로 데이터 기반 확충과 고용 위기 완화 등의 성과를 낸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2025년까지 49조원을 추가 투입해 정책 속도를 더욱 높인다는 계획이다. 디지털뉴딜은 국가 발전계획 한국판 뉴딜의 일부로, 공공 데이터를 민간이 활용할 수 있도록 구축하는 ‘데이터 댐’ 등을 주요 사업으로 한다.
22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관계부처와 함께 디지털뉴딜 1주년 성과를 공유했다.
정부에 따르면 데이터댐(5만여명), 공공데이터 청년 인턴(1만5000여명), 디지털 배움터(8000여명) 등 뉴딜 주요 사업에 7만명 이상이 참여했다. 정부는 이를 통해 고용위기 완화에 기여했다고 자평했다.
1년간 디지털뉴딜 사업에 참여한 기업과 기관은 약 17만개였다.
올해 데이터 공급기업은 1126개로 2019년(393개)보다 2.9배 늘었고, AI 공급기업은 991개로 2019년(220개)보다 4.5배 증가했다.
지난해 국내 데이터 시장 규모는 19조3000억원으로 전년(16조9000억원) 대비 14.3% 늘었다. 특히 금융·교통·문화·의료 등 4300종 이상 분야에서 10억건 이상 데이터가 구축·개방·활용됐다.
정부는 2025년까지 49조원을 투입해 디지털 뉴딜 2.0으로 미래 신산업 육성과 성과 확산에 주력하고 메타버스, 블록체인, 클라우드 등 초연결 신산업을 적극 육성한다는 방침이다. 올해 디지털뉴딜 2.0은 지난해 구축한 인프라를 민간에 제공해 활용하는 것이 골자다.
정부는 민간 주도 혁신이 일어날 수 있도록 데이터댐과 5G 고속도로 등 인프라를 민간 영역에 제공한다. 공공부문에는 민간 기업 클라우드 활용을 권장한다.
임혜숙 과기정통부 장관은 “다양한 채널을 통해 민간과 협업·소통해 디지털 뉴딜 2.0 분야별 추진계획을 구체화해 발표·시행하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혁신적 변화를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