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언니·치맥·먹방… 英 옥스퍼드 사전에 ‘K-단어’ 26개 올랐다 [뉴스 투데이]

입력 : 2021-09-11 08:00:00 수정 : 2021-09-10 20:47:27

인쇄 메일 url 공유 - +

옥스퍼드 보도자료서 “정말 대박”

“한류 영향 모든 것에 접두사 ‘K’ 붙어
한국 스타일 이제 ‘쿨함’의 전형” 평가

2013년까지 등재된 21만8600여건 중
한글 유래 표제어는 ‘김치’ 등 10여개
이번에 총 35개 단어 수정·신규 등재
문화 넘어 언어에서도 ‘한류 전성시대’
한국어 신규 추가 소식을 ‘대박’으로 전하는 옥스퍼드영어 사전 홈페이지 화면.

오빠, 언니, 누나, 치맥, 대박, 삼겹살, 스킨십, 잡채, 김밥, 콩글리시, 만화, 먹방, 애교, 반찬, 불고기, 동치미, 파이팅, 갈비, 한류, 한복….

역사와 권위를 자랑하는 영국 옥스퍼드 영어사전(Oxford English Dictionary·OED)이 최신 업데이트에서 한국어 유래 새 영어 표제어를 한꺼번에 26개나 새로 등재했다. 2013년까지만 해도 21만8600여 표제어 중 한국어 유래 단어는 10여개에 불과했던 점을 고려하면 깜짝 놀랄 변화다. 그만큼 한국 문화 저변이 급속도로 세계에 확산하며 영어문화권 중심에 진입한 결과다.

OED를 발간하는 옥스퍼드대 출판부-옥스퍼드 랭기지(Oxford Languages)는 이런 소식을 지난 9일 공표하면서 심지어 한글로 작성해 별도 배포한 보도자료에서 “정말 ‘대박(daebak)!’이다”라고 평가했다.

특히 옥스퍼드대 출판부는 “한국 대중문화가 국제적 인기를 얻으면서 모든 것에 ‘K-’라는 접두사가 붙는 것 같다”면서 “한국 스타일은 이제 ‘쿨함’의 전형으로 여겨지고 있다”고 소개했다.

1857년 편찬 개시·1928년 초판 완성 후 영어 문화권의 최종 해설자로서 권위를 인정받아온 OED 측은 “최신판에 수록된 한국어 유래 단어들은 그야말로 영화, 음악, 패션뿐 아니라 영어라는 언어에서도 우리 모두가 한류 전성시대를 구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고 평가했다.

OED 이번 업데이트에서 한국어 관련 작업은 총 35건이다. 26개 표제어 신규 등재와 별도로 ‘한글’, ‘김치’, ‘양반’, ‘태권도’ 등 기존 한국어 유래어 11개 뜻을 수정했다. 가장 주목되는 작업은 K-복합어 항목 신설이다. OED는 한류가 확산하면서 ‘K’로 축약된 ‘Korean’이 다른 명사와 결합해 한국이나 한국의 대중문화와 관련된 명사를 형성한다고 규정했다. 그러면서 “K-팝과 ‘사랑의 불시착‘, ‘킹덤‘ 같은 K-드라마 성공은 지금 너무나 널리 퍼져 있어서 (한류 관련 표제어를) 하나가 아니라 두 개의 이름으로 옥스퍼드 사전에 막 등재했다”며 ‘한류’를 뜻하는 ‘hallyu’와 ‘Korean wave’가 OED에 정식 등재됐음을 밝혔다.

한류 콘텐츠 대유행으로 외국인에게도 익숙해진 ‘oppa(오빠)’와 ‘unni(언니)’ 등 다양한 한글 호칭도 OED에 새로 등재됐다. 특히 OED 측은 “‘oppa’와 ‘unni’는 한국 밖에서 사용될 때 주목할 만한 변화를 겪어왔다”며 “K-팝이나 K-드라마 팬들은 ‘unni’를 자신의 성별과 무관하게 그들이 좋아하는 한국 여성 배우나 가수를 부를 때 사용한다. 반면에 동남아시아에서 ‘oppa’는 매력적인 한국 남성, 특히 유명한 배우나 가수를 부를 때 사용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주요 용례로 이민호, 박서준, 이종석, 지창욱 등 한류스타를 ‘최고의 오빠(ultimate oppas)’로 명명한 2021년 초 한 트위터 글을 인용했다.

이밖에도 OED 측은 ‘PC bang(피시방)’, ‘skinship(스킨십)’과 아예 ‘Konglish(콩글리시)’를 표제어로 사전에 추가했다. 나날이 외국에서 인기가 늘고 있는 한국 음식 역시 대거 OED에 추가됐다. 김치와 함께, banchan(반찬), samkyeopsal(삼겹살), galbi(갈비), kimbap(김밥) 등이 새로 등재됐다. 치맥(치킨+맥주)에 대해선 “2014년 K-드라마 ‘별에서 온 그대’로 인해 한국 밖에서 유명해지게 되었다. 한국 배우 전지현이 연기한 주인공이 지속해서 치맥을 갈구하고 또 먹으면서 한국 프라이드치킨의 대유행이 중국과 그 이외의 지역에서 시작되었다”고 상세히 분석까지 했다.


박성준 기자 alex@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지수 '시크한 매력'
  • 지수 '시크한 매력'
  • 에스파 닝닝 '완벽한 비율'
  • 블링원 클로이 '완벽한 미모'
  • 스칼렛 요한슨 '아름다운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