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 전단계서 5년 미만·이상 당뇨로 갈수록 치매 위험↑”
“심뇌혈관 질환 등 있으면 단순 당뇨보다 치매 더 위험해”
“치매의 예방 위해 충분한 운동·적정량의 식이 조절 중요”
혈액 속의 포도당 농도가 비정상적으로 상승한 상태인 ‘고혈당’. 이 증상은 당뇨병·간염·췌장염을 비롯해 쿠싱증후군·말단비대증·갈색세포종 등의 내분비질환이나 뇌혈관장애·심근경색의 급성기·위절제를 받은 환자, 임신부등 대부분의 질환이나 스트레스상태에서 나타난다.
그런데 혈당이 높은 기간이나 당뇨 기간이 길면 알츠하이머 치매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는 국내 연구팀의 연구 결과가 나왔다.
또한 단순 당뇨만 있는 것보다 합병증을 가지고 있을 때 치매 발생 위험이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용인세브란스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김우정 교수는 서울성모병원 내분비내과 이은영 교수, 숭실대학교 정보통계보험수리학과 한경도 교수와의 공동 연구를 통해 이 같은 연구 결과를 9일 밝혔다.
연구팀은 2009년~2010년 일반건강검진에 참여한 40세 이상 검진자를 ‘정상군’과 ‘당뇨 전단계로 발병한 당뇨’, ‘5년 미만 치료 중인 당뇨’. ‘5년 이상 치료 중인 당뇨’ 등으로 구별하고 치매 발생 위험을 분석했다.
그 결과, 고혈당의 정도와 기간이 알츠하이머형 치매의 발병 위험에 유의미한 관련성이 있었다. 당뇨 전단계에서 5년 미만 및 5년 이상의 당뇨로 갈수록 치매 발병 위험이 증가했다.
특히 허혈성 심장질환·뇌졸중, 만성 신장질환 등 동반질환이 있을 경우 단순 당뇨만 있는 경우보다 치매 발생 위험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새로 발병해 치료받기 전인 당뇨에서 치매 발생 위험이 발병 5년 미만의 치료 중인 당뇨에서보다 높고, 5년 이상 치료 중인 당뇨보다는 낮다는 점을 발견했다.
이는 당뇨를 잘 관리할 경우 초기에는 치매 발생 위험을 낮출 수 있으나 유병 기간이 길어지면 치매 발병 위험이 높아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동안 당뇨병이 체내 치매 유발물질을 생성하거나 뇌 혈액 공급에 만성적인 영향을 줘 치매 발병 위험을 높인다는 사실은 이전에 여러 연구를 통해 밝혀진 바 있다. 하지만 당뇨 전단계나 당뇨 합병증과 치매의 관련성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김 교수는 “치매 예방을 위해서는 충분한 운동과 적정량의 식이 조절을 통해 당뇨병이 생기지 않도록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이번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당뇨 혹은 당뇨 전단계 환자를 위한 맞춤형 치매 예방방법을 개발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미국당뇨병학회(ADA) 학술지 ‘당뇨 치료(Diabetes Care)’ 온라인에 게재됐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