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고령층 감염' 빨간불…수도권 요양·정신시설 면회 중단

관련이슈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입력 : 2021-11-19 13:39:53 수정 : 2021-11-19 13:39:51

인쇄 메일 url 공유 - +

수도권 요양·정신병원 등에서 접종 완료자에 한해 가능했던 접촉 면회가 추가접종(부스터 샷) 완료 때까지 잠정 중단된다. 정부는 오는 26일까지 추가접종을 마치겠다는 계획이다.

 

권덕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1차장 겸 보건복지부 장관은 19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수도권 의료 대응 강화 대책'을 발표하면서 이렇게 밝혔다.

 

이번 대책은 일상회복 시행 이후 요양병원·시설을 중심으로 고령층의 돌파감염이 확산하면서 60세 이상 고령층 등 고위험군 감염 비중이 늘어난 데 따른 조치다.

 

전체 확진자 가운데 60세 이상 고령층 비중은 지난달 20.0%에서 이날까지 32.7%로 급증했다. 중증화율 역시 10월 첫째 주 1.56%에서 10월 마지막 주 2.36으로 증가했다.

 

정부는 요양·정신병원의 경우 자체 접종, 요양·정신시설은 촉탁의 또는 보건소 방문 접종팀을 운영해 추가접종을 실시키로 했다.

 

이기일 복지부 보건의료정책실장은 "3일 전 요양병원, 요양시설, 정신병원, 정신시설 회의를 했을 때 (추가)접종 동의율이 66%였다"며 "2차 접종을 하신 분들의 100% 동의를 받아 추가접종을 26일까지 맞추겠다는 결정을 하고 논의·노력 중"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기본접종 완료 일로부터 6개월이었던 추가접종 간격을 요양병원·시설과 의료기관 등 감염취약시설에 대해 5개월로 앞당긴 데 이어 4개월로 한번 더 단축했다.

 

이에 따라 추가접종이 완료되기 전까지 접종 완료자에 한해 허용하던 접촉 면회도 잠정 중단한다. 감염 접촉 요인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다.

 

동시에 확진자를 선제적으로 찾아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수도권 내 고령자 감염 취약 시설 종사자를 대상으로 매주 2일 PCR(유전자 증폭) 검사와 신속항원검사를 실시한다. 단, 추가접종 후 2주 경과자에 대해선 이를 면제한다.

 

또 양병원에 대해선 전담 공무원을 1:1로 매칭하는 등 책임제를 통해 주기적으로 환기를 시행하고 방역 수칙 준수 여부를 확인하기로 했다.

<뉴시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지수 '시크한 매력'
  • 지수 '시크한 매력'
  • 에스파 닝닝 '완벽한 비율'
  • 스칼렛 요한슨 '아름다운 미모'
  • 베이비몬스터 아현 '반가운 손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