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이재명 “일자리 200만개↑, 연 30조원 이상 부가가치 창출할 것”

관련이슈 대선

입력 : 2021-11-23 18:32:25 수정 : 2021-11-23 18:32:24
최형창 기자 calling@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與 선대위 출범 후 첫 공약

“5년간 135조원 들여 전환 기초작업
해마다 30조 넘는 부가가치 만들 것”
공공·민간 아우른 데이터 체계 구축
교육체계 혁신해 ‘100만 인재’ 양성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가운데)가 23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디지털 대전환’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서상배 선임기자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는 23일 5년간 약 135조원을 ‘디지털 전환 투자’ 명목으로 투입해 200만개 이상의 일자리를 창출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임기 동안 데이터 전담 체계를 구축해 디지털시대로의 전환에 필요한 기초작업을 착실히 해나가겠다는 구상을 내놓았다.

이 후보는 이날 서울 여의도 민주당사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디지털 대전환’ 공약을 발표했다. 당 중앙 선거대책위원회 출범 후 이 후보가 발표한 첫 공약이다. 이 후보는 “디지털 영토 확장, 기업의 성장 과정에서 민간 추가투자 250조원 이상 유발되도록 하겠다”며 “일자리 200만개 이상을 창출하고, 수십년간 연 30조원 이상의 부가가치를 창출할 것”이라고 포부를 드러냈다.

이 후보가 내세운 3대 전략은 ‘물적·제도적·인적 인프라 구축’, ‘디지털 산업영토·기술영토·글로벌영토 확장’, ‘국민 디지털 주권 보장’ 등이다. 이 후보는 “기술력 향상에 따라 인간 노동이 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추세적으로 떨어질 수밖에 없는 게 분명하다”며 “우리가 해야 할 일은 새로운 영역에서 일자리를 최대한 많이 발굴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후보는 특히 데이터 관리 부분에 중점을 뒀다. 그동안 우리나라는 디지털 강국임에도 공공과 민간의 수많은 데이터 체계가 제각각이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았기 때문이다. 이 후보는 “디지털 경제의 원유인 데이터가 성장의 연료가 되려면 공공과 민간 데이터를 아우르는 강력한 데이터 전담 추진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며 “데이터 기본법의 ‘국가데이터정책위원회’의 위원장을 국가 CDO(최고데이터책임자)로 임명해 기획·집행 권한을 부여하고 부처별 데이터의 통합과 연계를 지원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또 “공공 데이터는 현재 상당수가 기계 판독이 불가능한 상태로 공개돼 활용도가 높지 않다”며 “기계가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공개를 확대하고, 공공과 민간의 지식정보를 디지털화한 디지털 집현전을 본격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이 후보는 사물인터넷·클라우드·5G·6G 인프라를 구축 및 연결하고 디지털 관련 규제체계를 전면 개편하는 한편 교육체계도 혁신해 디지털 미래인재 100만명을 양성하겠다고 밝혔다. 세부적으로는 디지털 고속도로 건설, 대통령 직속의 규제 갈등 조정기구 상설화, 공공·민간 데이터를 아우르는 데이터 전담 추진체계 구축 등을 약속했다. 이를 위해 디지털 규제 컨트롤타워를 지정하고, 대통령 직속의 신구산업 규제 갈등 조정기구를 신설하겠다고 밝혔다. 또 산업 지원을 위한 디지털 경쟁 촉진법과 디지털 서비스 이용자 보호법을 동시에 갖추겠다고 밝혔다.


최형창 기자 calling@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전지현 '매력적인 미소'
  • 전지현 '매력적인 미소'
  • 박규영 ‘반가운 손인사’
  • 임윤아 '심쿵'
  • 김민 ‘매력적인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