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시범사업 거쳐 지침 마련 나서
원단 소재 따라 구분 후 배출 유도
소재 성분 표시 의무화도 추진키로
서울은 한국 봉제업의 중심지다. 종로구 창신동, 중구 신당동, 중랑구 면목동 등 서울 내 봉제공장이 전국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60%에 달한다. 매년 이곳에서는 4만t(톤)이 넘는 원단 자투리 폐기물이 쏟아지고 있다. 재활용 가능한 다양한 원단이 나오지만 분리배출 체계가 제대로 마련되지 않아 대부분 매립·소각되는 실정이다. 서울시가 이를 개선하기 위해 내년부터 원단을 소재별로 분리배출하는 시범 사업을 시작한다.
26일 서울시에 따르면 봉제원단폐기물은 ‘재활용 가능자원의 분리수거 지침’에 의한 분리수거 대상 품목이지만 재활용이 제대로 되지 않고 있다. 원단은 의류와 달리 소재 성분 표기가 없는 경우가 많고, 육안으로 소재의 식별이 어렵기 때문에 대부분 혼합배출로 버려지기 때문이다. 2020년 소상공인연구원에 따르면 서울의 1만4000곳 봉제업체가 한 해 배출하는 원단폐기물은 4만6000t에 달한다.
서울시는 이처럼 대량으로 버려지는 원단폐기물의 재활용을 위해 최근 ‘봉제원단폐기물 재활용 활성화 방안’을 마련했다. 일정 규모의 봉제업체를 대상으로 소재별 분리배출 시범사업을 실시해 효과와 문제점을 분석하고 재활용 지침을 마련하는 것이 목표다. 시 관계자는 “폐기물관리법에 따라 2026년 수도권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에 대비하고 플라스틱 재생원료 사용 의무화 등 순환경제 흐름에 맞춰 재활용 방안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시는 봉제업체가 그동안 혼합배출했던 원단을 내년 시범사업을 통해 면, 폴리에스테르, 기타 등 소재별로 색이 다른 마대로 구분해 배출하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그 과정에서 배출봉투 등 혜택을 제공해 참여율을 높이고 배출자 실명제로 업체가 책임감을 갖고 재활용 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
시는 시범사업 결과를 토대로 분리수거 지침을 마련하고 1~2년간의 시행 유예기간을 둬 전국 봉제현장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환경부와 논의할 예정이다.
원단에 소재 성분 표시를 의무화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시는 지난 4월 산업통상자원부에 원단 생산업체가 소재 성분을 표시해 봉제업체에 넘기는 방안을 마련해줄 것을 건의했다.
원단폐기물은 분리배출만 된다면 다양한 재활용이 가능한 소재다. 순도가 높은 원단 소재는 면장갑, 자동차 내장재, 건축자재 등으로 재활용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아크릴 등 혼합소재는 현재 산업용 소각 보일러의 고형연료로 대부분 사용되고 있지만, 고형연료가 신재생에너지 적용대상에서 제외되면서 다양한 재활용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일부 업체에서는 부직포, 충전재 등으로 혼합소재가 재활용되고 있다.
홍수열 자원순환사회경제연구소장은 “원단의 선별이 잘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생산자들의 섬유 재질 표시 등 정보제공이 강화되고 소재를 인식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필요하다”며 “중앙정부 차원의 로드맵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