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여성 6~7명 중 1명은 저체중 상태인 것으로 드러났다.
또 정상체중이거나 저체중인 경우에도 절반 가까이는 체중감량을 시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가운데 최근 5년 사이 우리나라 여성의 허리둘레가 소폭 줄어들고 복부비만율도 내려간 것으로 드러났다.
8일 질병관리청이 발표한 ‘우리나라 성인의 체질량지수 분류에 따른 체중감소 시도율 및 관련요인’ 논문을 보면 2013~202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2021년 19~29세 여성의 15.1%가 체질량지수 18.5 미만인 저체중 상태였다.
이 연령대 여성 6~7명 중 1명은 체중이 정상치에 못 미친 셈이다. 2019~2021년 기준 저체중 비중은 14.8%로 2016~2018년 12.4%보다 2.4%포인트 올랐다.
체질량지수는(BMI)는 자신의 몸무게(kg)를 키의 제곱(m)으로 나눈 값이다.
이 BMI지수가 18.5 미만일 경우 저체중이며, 18.5~23 정상, 23~25 과체중, 25이상이면 비만에 해당한다.
이들 중 저체중인데도 체중감량을 시도한 경우는 16.2%나 됐고, 정상체중(체질량지수 18.5~23·전체의 55.8%)이더라도 53.9%가 체중을 줄이려는 다이어트를 시도했다.
두 경우를 합하면 저체중이거나 정상체중인데 체중감량을 시도한 비율이 절반에 가까운 46.0%나 됐다.
논문은 “마른 체형을 선호하며 무분별한 체중조절을 유도하는 사회문화적 분위기로 젊은 여성이 자신의 체형을 과대 인식하는 비율이 높다”며 “저체중이거나 정상체중인 사람이 반복적인 다이어트를 하면 심혈관계에 악영향을 주고 영양불량, 빈혈, 골다공증 위험을 높일 수 있다. 임신 전 저체중은 반복성 유산 등 부정적 임신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앞선 1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최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건강검진 기준 평균 허리둘레는 2021년 남성이 86.0㎝(33.9인치), 여성이 76.6㎝(30.1인치)였다.
이는 2017년과 비교할 때 남성은 0.9㎝ 늘고, 여성은 0.3㎝ 줄어든 것이다.
2022년 복부비만 비율은 남성이 31.7%, 여성이 19.2%다.
복부비만은 배에 과도한 지방이 축적된 상태로, 허리둘레가 남자 90㎝(35.4인치) 이상, 여자 85㎝(33.5인치) 이상일 때 진단받는다.
대략 남성 10명 중 3명, 여성 10명 중 2명이 복부비만인 것이다.
1년 전과 비교하면 큰 차이는 없지만, 남성은 0.2%P 오르고, 여성은 0.4%P 내렸다.
복부지방은 피하지방과 내장지방(체내 장기를 둘러싸고 있는 체강 내에 축적되는 지방)으로 나뉜다.
이 중에서 특히 문제가 되는 것은 내장지방이다. 내장지방이 과도하게 쌓일 경우 우리 몸의 인슐린 작용이 방해받고, 염증 물질도 늘어나 당뇨, 관상동맥질환, 이상지질혈증 등 각종 질병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