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사설] 경제 영토·외교 지평 한층 넓힌 한·아프리카 정상회의

관련이슈 사설

입력 : 2024-06-04 23:33:20 수정 : 2024-06-04 23:33:18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한·아프리카 전략적 협력 확장 윤석열 대통령이 4일 경기 고양시 일산에서 열린 2024 한·아프리카 정상회의 뒤 아프리카연합(AU) 의장인 모리타니의 무함마드 울드 셰이크 엘 가주아니 대통령(앞줄 왼쪽 두 번째) 등 참가국 대표들과 손뼉을 치며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정부는 AU 소속 55개국 중 48개국이 참여한 이번 정상회의와 릴레이 양자회담을 계기로 ‘글로벌 사우스’(주로 남반구에 위치한 개발도상국·신흥국)와의 전략적 협력을 확장한다는 계획이다. 대통령실 제공

한·아프리카 정상회의가 어제 서울에서 개막돼 ‘기후변화,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협력’과 ‘한반도 비핵화 노력’ 등을 담은 공동선언문이 발표됐다. 우리나라와 아프리카 국가 간 조약·협정 12건과 핵심 광물 협력 등 양해각서(MOU) 34건이 체결됐다. 구체적으로는 우리나라가 아프리카 국가들로부터 핵심 광물을 안정적으로 공급받기 위한 상설 협의체 ‘한·아프리카 핵심 광물 대화’의 출범에 합의한 것이 의미가 크다. 전기차, 배터리, 신재생 에너지와 같은 미래 산업 발전을 위한 광물 자원의 중요성이 증대되는 점을 고려한 전략적 행보다. 양측 협력 강화를 위해 우리나라는 2030년까지 아프리카에 대한 공적개발원조(ODA)를 100억달러(약 13조7600억원)까지 확대하고 140억달러 규모의 수출 금융을 통해 우리 기업의 아프리카 진출을 촉진할 계획이다.

 

우리가 한·아프리카 정상회의를 개최한 것은 아프리카 국가들과 협력의 접점을 극대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아프리카연합(AU) 55개 회원국 가운데 쿠데타 등으로 국제 제재를 받는 나라를 제외한 48개국 모두가 참석했다. 이들이 한국에 관심을 갖는 것은 과거 식민지배, 내란, 가난 등 공통점이 많은 데다 한국이 ‘한강의 기적’을 통해 개발도상국에서 선진국으로 발돋움한 게 큰 이유가 됐을 것이다. 동병상련을 느끼는 선진국인 만큼 배울 점이 많다고 판단했을 법하다.

 

우리 역시 아프리카가 무궁무진한 자원을 갖고 있는 데다 유엔 등 국제무대에서 날로 위상이 높아지고 있는 점에 매력을 느꼈다. 전기차 배터리의 필수 원료인 코발트, 리튬, 백금 등 전 세계 광물 자원의 3분의 1이 아프리카에 있다. 193개 유엔 회원국 4분의 1을 보유한 대륙으로 존재감이 간단치 않다. 우리는 이미 지난해 부산엑스포 유치전에서 아프리카 국가들의 중요성을 절감하지 않았나.

 

수출 의존도가 높고 고령화 문제가 심각한 우리로선 아프리카와의 협력이 절실하다. 작금의 경제·외교·안보 위기를 극복하는 발판이 될 수 있다. 아프리카는 중국, 인도와 인구(14억)가 비슷한 수준이지만 60%가 25세 이하인 ‘젊은 대륙’이다. 한·아프리카 정상회의를 단발성으로 끝내서는 안 된다. 우리 외교의 지평과 경제 영토를 넓혀 글로벌 중추국 위상을 확실히 다질 좋은 기회로 삼아야 한다. 그러려면 공적개발원조(ODA) 규모를 늘리고 기술 전수를 확대하는 등 말이 아닌 행동으로 진정성을 보여주는 게 중요하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한지은 '매력적인 미소'
  • 한지은 '매력적인 미소'
  • 공효진 '공블리 미소'
  • 이하늬 '아름다운 미소'
  • 송혜교 '부드러운 카리스마'